오는 26일 일본 차기총리로 등극할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이 평화헌법을 5년 내 개정하겠다는 개헌 목표를 처음으로 밝혔다.
“개헌 논의 국민지지 얻으면 더 앞당길 수도”
11일 <지지(時事)통신>에 따르면 아베 장관은 11일 일본기자클럽 주최로 열린 공개토론회에서 헌법 개정 시점을 질문받고 "5년 가까운 기간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국민적인 논의가 진행돼 국회에서 3분의 2의 찬성을 얻는 목표가 서면, 더욱 앞당기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며 "졸속이 되지 않게 당 총재로서 합의를 위한 지도력을 발휘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총리 취임시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할지 여부에는 "이른바 공식 참배는 아닌 만큼, 공식 발표를 하지 않아도 상관없다"고 말해, 참배를 하더라도 개인참배 형식을 취하고 그 사실을 공표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아베 장관은 지난 4월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으며 당시 참배 사진이 공개됐음에도 불구하고, ‘야스쿠니 참배’ 문제에 대해서는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는다는 전략으로 일관하고 있다.
아베 장관은 이같은 전략을 바탕으로 지난해부터 고이즈미 총리의 신사 참배를 이유로 중단돼온 중-일 정상회담을 재개한다는 방침이어서 중국의 수용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지난 4월 신사참배를 하고 있는 아베 일본 차기총리. ⓒ연합뉴스
아베 장관은 이밖에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정권과 국제 테러 조직 알 카에다의 관계를 부정한 미 CIA의 보고서가 공표된 것과 관련해선, “미국도 정보(분석)에 있어서 오류가 있었을 지도 모른다”라며 “그러나 이라크가 과거에 대량살상무기를 사용한 점을 고려해야 하며 미일동맹도 염두에 두고 (미국을) 지지한 결단은 잘못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