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코인 폭락에 美연준 금리인하 시사
급락하던 美주가 상승 마감. 엔비디아는 소폭 하락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93.15포인트(1.08%) 올라간 46,245.41에 거래를 마감했다. S&P 500지수는 64.23포인트(0.98%) 상승한 6,602.99, 나스닥 종합지수는 195.03포인트(0.88%) 오른 22,273.08에 장을 마쳤다.
장 초반 급락세로 출발하던 증시를 반등세로 돌린 것은 미연준 2인자인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였다.
윌리엄스 총재는 이날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칠레 중앙은행 100주년 기념회의 연설에서 "나는 정책 기조를 중립 범위에 더 가깝게 이동시키기 위해 가까운 시일 내 연방기금금리(FFR)의 목표 범위를 추가 조정할 수 있다고 여전히 보고 있다"며 연말 금리인하를 시사했다.
그 결과 FFR 선물시장에서 연준이 오는 12월 금리 25bp 인하할 가능성은 71.5%로 치솟았다. 전날(39.1%) 대비 30%포인트 넘게 올랐다.
증시는 트럼프 정부가 일부 GPU에 대해 수출 통제 해제를 검토한다는 보도에 더욱 반색했다.<블룸버그 통신>은 이날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 GPU인 'H200'에 대해 중국 판매를 허용하는 방안을 내부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트럼프도 'AI 거품' 공포로 궁지에 몰린 엔비디아 지원에 나선 모양새다.
그 결과, 장중 4.27%까지 급락했던 엔비디아는 낙폭을 크게 줄여 0.97% 하락으로 거래를 마감할 수 있었다. 장중 플러스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장 막판에 하락 마감, 시장에 AI 거품 우려가 여전함을 보여주었다.
알파벳(3.56%),아마존(1.63%)과 애플(1.97%), 메타 플랫폼스(0.87%) 등은 올랐으나, 테슬라(-1.05%)와 마이크로소프트(-1.32%)는 하락했다.
장중 8만1천달러 선까지 폭락했던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은 8만4천달러 선으로 일부 낙폭을 줄였으나 여전히 패닉적 분위기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