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내년에도 반도체 '고고'. 非반도체는 고전"

산업연구원 "올해 수출, 일본과 맞먹는 7천억달러. 반도체 의존도 심화"

국책연구원인 산업연구원은 반도체 '슈퍼 사이클'에 힘입어 올해 수출이 일본과 비슷한 7천억달러에 달하고 내년도 비슷하겠으나, 반도체만 호황을 구가하고 다른 산업들은 고전하면서 반도체 의존도가 높아지는 불균형 상태가 심화될 것으로 우려했다.

24일 산업연구원 보고서 <2026년 경제·산업 전망>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연간 수출이 작년보다 2.5% 증가한 7천5억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7천억달러를 돌파할 전망이다. 2021년 6천억달러 돌파후 4년만의 쾌거다.

이는 올해 7천75억달러로 예상되는 일본 수출액(한국무역협회 충산)과 맞먹는 규모다.

우리나라 수출은 내년에는 올해보다 0.5% 감소한 6천971억원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수출은 미국의 관세 부과 및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도 관세 대응을 위한 선 적재 수요, AI 투자 확대와 관련된 반도체 수요 증가, 이미 수주한 선박 인도 물량 지속 등에 힘입어 견조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내년 수출은) 글로벌 경기 부진 및 교역 둔화, 전년 호실적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소폭 감소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산업연구원은 내년 한국 경제는 정부의 확장적 재정 기조 등으로 내수가 성장 동력으로 작용해 연간 1.9%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원/달러 평균 환율은 미국의 금리 인하 등으로 인한 달러화 약세로 올해 평균보다는 낮은 1391.7원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문제는 반도체와 비(非)반도체간 수출 불균형 심화다.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DDR5 등 고부가 제품의 수출 증가로 반도체 내년 수출이 4.7% 증가하는 등 반도체, IT, 바이오헬스 등을 포함한 IT신산업군 수출은 4.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중국발 과잉공급으로 정유(-16.3%), 철강(-5.0%), 석유화학(-2.0%) 등 소재산업군 수출은 7.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해외 생산 및 현지 부품 조달 확대 등으로 자동차(-0.6%), 조선(-4.0%), 일반기계(-3.7%) 등의 수출이 부진하면서 기계산업군 수출도 전년보다 2.0% 감소할 것으로 봤다.

산업연구원은 "13대 주력 산업은 보호무역, 통상 환경 변화, 대미 관세 리스크에 대응할 안정적 수출ㆍ공급망 체계 구축과 함께 AIㆍ친환경ㆍ모빌리티ㆍ스마트 제조 등 기술 전환에 대비한 경쟁력, 생산 기반 강화가 필요하다"며 "수출 시장 다변화, 세제·금융·R&D 확대, 통상 협력 및 규제 개선, 친환경·디지털 전환 촉진 정책 지원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앞서 지난 17일 한국경제인협회는 10대 수출 주력업종의 매출액 1천대 기업(20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최근 시행한 '한·미·일·중 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 결과, 한국 10대 수출 주력업종 중 절반이 기업 경쟁력 측면에서 중국에 이미 추월당했고, 5년 뒤에는 10대 업종 모두가 뒤처질 것이라는 충격적 전망을 한 바 있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0 0
    박태견 기자

    빨갱이 내란수괴 우두머리 윤석열 어게인
    건희 어게인
    내란 어게인

  • 1 0
    음하하

    인구는 절반인데 수출액은 일본과 맞먹는다?

    식민지가 종주국을 능가한 유일한 사례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