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아빠'도 비트코인 매도...믿었던 개미들 패닉
며칠 전까지만 해도 "100만달러 간다". '극단적 공포' 심화
비트코인 가격이 100만달러(약 14억7천500만원)까지 치솟을 것이라며 며칠 전까지만 해도 비트코인을 사라고 외치던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비트코인을 대량 매도, '비트코인 거품론'을 확산시켰다.
로버트 기요사키는 22일 SNS를 통해 "나는 비트코인을 개당 약 9만달러에 225만달러어치 팔았다"며 "나는 수년 전에 그것을 6천달러에 샀었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자금으로 수술센터 두 곳과 광고판 사업을 인수한다면서, "내년 2월이면 매달 2만7천500달러의 비과세 현금흐름을 만들 것"이라며 "오래전부터 실천해온 '부자가 되는 계획'의 일환"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앞서 이달 들어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하기 시작하자 중순에 SNS를 통해 “충격적인 하락이 올 것”이라면서도 “그렇기 때문에 나는 팔지 않고 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신은 “현금 흐름이 충분하므로 비트코인·금·은·이더리움을 팔 이유가 없다”며 “비트코인 공급은 2천100만 개로 한정돼 있다. 하락장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다가는 지금보다 더 높은 가격에 사게 될 것”이라며 매수를 권장했다.
그는 비트코인 가격이 내년에 25만달러로 오르고, 장차 100만달러까지 갈 것이라고 호언하기도 했다.
그의 주장은 개미들이 비트코인 폭락 속에서도 "극단적 공포가 매수 찬스"라며 매수세를 이어가는 주요 근거중 하나가 됐다. 그러나 그가 며칠 사이에 입장을 바꿔 비트코인을 대량 매도, 다른 사업에 투자하겠다고 밝히면서 그를 추앙해온 개미들은 세게 뒤통수를 맞은 모양새다.
일각에서는 그의 매수 권유가 보유 비트코인을 비싸게 팔기 위한 '바람잡이'가 아니었냐는 비난도 쏟아지고 있다.
그의 매각 소식에 이날 비트코인 가격은 장중 8만1천달러 선까지 폭락하며 8만달러 붕괴를 위협하는 패닉적 상황에 빠져들었다.

로버트 기요사키. 그의 공식계정 캡처
로버트 기요사키는 22일 SNS를 통해 "나는 비트코인을 개당 약 9만달러에 225만달러어치 팔았다"며 "나는 수년 전에 그것을 6천달러에 샀었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자금으로 수술센터 두 곳과 광고판 사업을 인수한다면서, "내년 2월이면 매달 2만7천500달러의 비과세 현금흐름을 만들 것"이라며 "오래전부터 실천해온 '부자가 되는 계획'의 일환"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앞서 이달 들어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하기 시작하자 중순에 SNS를 통해 “충격적인 하락이 올 것”이라면서도 “그렇기 때문에 나는 팔지 않고 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신은 “현금 흐름이 충분하므로 비트코인·금·은·이더리움을 팔 이유가 없다”며 “비트코인 공급은 2천100만 개로 한정돼 있다. 하락장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다가는 지금보다 더 높은 가격에 사게 될 것”이라며 매수를 권장했다.
그는 비트코인 가격이 내년에 25만달러로 오르고, 장차 100만달러까지 갈 것이라고 호언하기도 했다.
그의 주장은 개미들이 비트코인 폭락 속에서도 "극단적 공포가 매수 찬스"라며 매수세를 이어가는 주요 근거중 하나가 됐다. 그러나 그가 며칠 사이에 입장을 바꿔 비트코인을 대량 매도, 다른 사업에 투자하겠다고 밝히면서 그를 추앙해온 개미들은 세게 뒤통수를 맞은 모양새다.
일각에서는 그의 매수 권유가 보유 비트코인을 비싸게 팔기 위한 '바람잡이'가 아니었냐는 비난도 쏟아지고 있다.
그의 매각 소식에 이날 비트코인 가격은 장중 8만1천달러 선까지 폭락하며 8만달러 붕괴를 위협하는 패닉적 상황에 빠져들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