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비웃는 서울아파트, 5년2개월만에 최대 급등
전세값도 수직 급등. 10.15 대책 우려했던 부작용만 키워
KB부동산 조사 기준으로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5년여 만에 최고 상승하고 전세값도 급등, 10.15 부동산대책이 시장의 냉소 속에 부작용만 낳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23일 KB부동산의 '1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72% 올라 2020년 9월(2.00%) 이후 5년2개월 만에 가장 큰폭으로 올랐다.
올해 최고 상승률(1.46%)을 기록한 지난달보다 상승폭이 0.26%포인트 커졌고, 18개월 연속으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역별로는 동작구(3.94%)가 최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을 비롯해 성동구(3.85%), 광진구(3.73%), 마포구(3.41%), 송파구(2.74%), 중구(2.70%), 강동구(2.35%) 등 한강벨트 권역을 중심으로 오름폭이 컸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전월에 이어 이달에도 아파트 가격이 하락한 지역은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도는 6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간 가운데 성남시 분당구(3.81%)와 수정구(2.91%), 광명시(2.36%), 하남시(2.18%), 과천시(2.00%), 용인시 수지구(1.87%) 등의 상승폭이 켰다.
전국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104.1로 3개월 연속 기준점 100을 넘어서며 집값 상승 전망이 우세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도 0.29% 올라 9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울(0.56%)과 경기(0.37%) 등 10.15 규제 지역의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특히 서울의 경우 강동구(1.58%), 광진구(1.04%), 송파구(0.90%), 동작구(0.80%), 성북구(0.79%), 서초구(0.78%), 중구(0.64%) 등의 상승폭이 컸다.
정부 공인 조사 기관인 한국부동산원 주간 발표 역시 서울 아파트값이 이달 셋째주(17일 기준) 0.20% 상승하며 직전주(0.17%)보다 오름폭을 확대했다. 4주만의 상승폭 확대다.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데이터를 토대로 10·15 대책 시행 전후 아파트 전셋값을 분석해 이날 발표한 결과에서도 전세값 급등이 확인됐다.
서울 21개 구와 경기도 12개 시·구의 평균 가격이 대책 시행 전보다 각각 2.8%, 2.0% 상승했다.
조사는 10.15 대책 발표 뒤인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대책 시행 전(9.20∼10.19)과 시행 후(10.20∼11.19) 각각 한 달간을 기준으로 동일 단지·동일 면적에서 각 1건 이상 전세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1층 이하는 제외)를 대상으로 했다.
앞서< 집토스>는 같은 방식으로 10·15대책 시행 이후 한 달간 규제지역·토허구역으로 편입된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1.2%)을 도출했는데, 서울의 경우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매매가 상승률의 두 배를 웃돌았다.
이처럼 10.15 대책후 아파트값이 잡히지 않자 하나은행에 이어 KB국민은행도 연말까지 주택담보대출을 중단하고 다른 시중은행들도 그 뒤를 따를 것으로 예상되는 등, 10.15 대책으로 아파트값을 잡을 수 있다고 호언했던 정부와 금융당국은 당혹감을 숨기지 못하는 분위기다.
23일 KB부동산의 '1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72% 올라 2020년 9월(2.00%) 이후 5년2개월 만에 가장 큰폭으로 올랐다.
올해 최고 상승률(1.46%)을 기록한 지난달보다 상승폭이 0.26%포인트 커졌고, 18개월 연속으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역별로는 동작구(3.94%)가 최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을 비롯해 성동구(3.85%), 광진구(3.73%), 마포구(3.41%), 송파구(2.74%), 중구(2.70%), 강동구(2.35%) 등 한강벨트 권역을 중심으로 오름폭이 컸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전월에 이어 이달에도 아파트 가격이 하락한 지역은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도는 6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간 가운데 성남시 분당구(3.81%)와 수정구(2.91%), 광명시(2.36%), 하남시(2.18%), 과천시(2.00%), 용인시 수지구(1.87%) 등의 상승폭이 켰다.
전국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104.1로 3개월 연속 기준점 100을 넘어서며 집값 상승 전망이 우세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도 0.29% 올라 9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울(0.56%)과 경기(0.37%) 등 10.15 규제 지역의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특히 서울의 경우 강동구(1.58%), 광진구(1.04%), 송파구(0.90%), 동작구(0.80%), 성북구(0.79%), 서초구(0.78%), 중구(0.64%) 등의 상승폭이 컸다.
정부 공인 조사 기관인 한국부동산원 주간 발표 역시 서울 아파트값이 이달 셋째주(17일 기준) 0.20% 상승하며 직전주(0.17%)보다 오름폭을 확대했다. 4주만의 상승폭 확대다.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데이터를 토대로 10·15 대책 시행 전후 아파트 전셋값을 분석해 이날 발표한 결과에서도 전세값 급등이 확인됐다.
서울 21개 구와 경기도 12개 시·구의 평균 가격이 대책 시행 전보다 각각 2.8%, 2.0% 상승했다.
조사는 10.15 대책 발표 뒤인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대책 시행 전(9.20∼10.19)과 시행 후(10.20∼11.19) 각각 한 달간을 기준으로 동일 단지·동일 면적에서 각 1건 이상 전세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1층 이하는 제외)를 대상으로 했다.
앞서< 집토스>는 같은 방식으로 10·15대책 시행 이후 한 달간 규제지역·토허구역으로 편입된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1.2%)을 도출했는데, 서울의 경우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매매가 상승률의 두 배를 웃돌았다.
이처럼 10.15 대책후 아파트값이 잡히지 않자 하나은행에 이어 KB국민은행도 연말까지 주택담보대출을 중단하고 다른 시중은행들도 그 뒤를 따를 것으로 예상되는 등, 10.15 대책으로 아파트값을 잡을 수 있다고 호언했던 정부와 금융당국은 당혹감을 숨기지 못하는 분위기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