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엔비디아↓ 구글↑, '엔비디아 독점' 와해 가속

엔비디아 "우리가 한 세대 앞서 있다". 시장은 '독점 와해' 판단

구글이 자체개발한 AI칩을 장착한 ‘제미나이3'가 엔비디아의 'AI칩 독점체제'를 흔들면서 엔비디아 주가가 연일 하락한 반면, 구글 모기업 알파벳 주가는 상승행진을 이어가는 등 희비 쌍곡선이 엇갈렸다.

2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64.18포인트(1.43%) 상승한 47,112.45에 거래를 마감했다. S&P 500지수는 60.76포인트(0.91%) 오른 6,765.88, 나스닥종합지수는 153.59포인트(0.67%) 상승한 23,025.59에 각각 장을 마쳤다.

엔비디아는 2.59% 급락한 177.82달러로 거래를 마치며 시총도 4조3천220억달러로 쪼그라들었다. 장중에는 7% 넘게 폭락하기도 했다가 막판에 가까스로 낙폭을 줄일 수 있었다. 엔비디아는 '매그니피센트7' 중 유일하게 하락했다.

반면에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은 이날도 1.5% 올랐고, 구글의 TPU 칩 장착 방침 검토 소식에 메타는 3.78%나 뛰었다. 엔비디아 칩보다 싼 구글 칩을 사용하면 AI 구축비용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아울러 엔비디아 협력업체들의 주가도 동반 하락한 반면 구글 협력업체들 주가는 오르는 등, 시장은 엔비디아의 독점체제 붕괴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엔비디아는 이에 맞서 X를 통해 "구글의 성공에 기쁘다. 구글은 AI 분야에서 큰 진전을 이뤘다"면서도 "우리는 계속 구글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우리는 업계보다 한 세대 앞서 있다"며 "모든 AI 모델을 구동하고 컴퓨팅이 이뤄지는 모든 곳에서 이를 수행하는 것은 우리 플랫폼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엔비디아 제품은 특정한 AI 구조나 기능을 위해 설계된 주문형 반도체(ASIC)보다 뛰어난 성능과 다용성과 호환성을 제공한다"며 거듭 기술적 우월성을 내세웠다.

하지만 시장은 엔비디아 독점체제가 깨지면서 매출 대비 이윤이 무려 75%에 달하는 엔비디아의 '독점 이윤'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박태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1 0
    장군놈

    김일성 왕조는 천년 갈겨

    홍어와 스티봉 자식있는 내 충견들이

    밀어준다 ㅋㅋ

  • 1 0
    ~ 한순간

    이러다
    앤비디아 하루 40% 폭락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