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제미나이 쇼크', AI 지각변동-나스닥 반등
엔비디아 독점시대 끝나. AI 거품 우려도 일정 부분 불식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02.86포인트(0.44%) 오른 46,448.27에 거래를 마쳤다. S&P 500지수는 102.13포인트(1.55%) 오른 6,705.12, 나스닥종합지수는 598.92포인트(2.69%)나 급등한 22,872.01에 각각 장을 마쳤다.
구글이 최근 공개한 제미나이 3.0는 폭발적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주가 상승을 주도했다.
그간 오픈AI를 중심으로 한 AI 툴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에 과도하게 의존할 수밖에 없어 GPU의 구매 및 유지, 감가상각 비용이 막대하다는 점이 'AI 거품' 우려의 주요 요인이었다.
그러나 구글은 자체 개발한 AI 칩 텐서처리장치(TPU)를 중심으로 제미나이 시스템을 구축했다. 빅테크 중에서도 유일하게 AI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수직 계열화하며 외부지출 비용을 크게 줄인 것. 또한 주요 AI 서비스의 학습이 어느 정도 끝난만큼 앞으로는 추론에 강점이 있는 TPU가 힘을 발휘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키웠다.
경쟁자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는 제미나이 3.0을 접한 뒤 "이제 우리가 쫓아가는 입장"이라며 당분간 분위기가 좋지 않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도 자신의 X 계정을 통해 "축하한다"며 제미나이의 성과를 인정했다.
제미나이 호평에 구글 모기업인 알파벳 주가는 이날도 6% 넘게 급등, 2거래일 간 주가 상승률이 10%에 육박했다. 시가총액도 3조8천300억달러를 돌파해 7년만에 마이크로소프트(MS)를 제치고 시총 3위로 올라섰다. 선두 엔비디아와의 격차도 7천800억달러로 크게 좁혔다.
'투자의 신'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최근 애플을 팔고 알파벳을 새로 담았다는 소식도 주가 급등을 부추겼다.
엔비디아와 MS도 각각 2.05%와 0.40% 올랐다. 하지만 장 초반에는 '제미나이 쇼크'로 GPU 중심의 엔비디아와 오픈AI는 하락 출발했다가 막판에 상승 반전할 수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4.63% 급등했다. 그중에서도 구글에 TPU룰 공급하는 브로드컴 주가는 11.10% 급등, TSMC를 제치고 필리 지수내 시총 2위로 올라섰다. 반도체업계내 지각변동이 시작된 양상이다.
TSMC도 3.48%, ASML은 2.20%, AMD는 5.53%,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7.99% 뛰었다.
'공포 지수'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도 2.91포인트(12.4%) 하락한 20.52를 가리키며 공포심리 진정을 알렸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