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이재명도 '1인 1표로 가야' 했잖나"
친명 공세에 반격. 친명 계속해 "또다른 중요가치는 전국정당 완성"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3일 '1인1표제' 강행에 대한 친명계 반발과 관련, "이재명, 비명계 반발에도 '대의원-권리당원 비중 1대1로 가야', '민주주의 사회서 표의 등가성 매우 중요해'(2023, 11, 27)"라며 이재명 대통령의 당대표 시절 발언으로 반격을 가했다.
정청래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이재명 대표시절 최고위원으로서 호흡을 맞추며 당원주권정당의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며 자신은 이 대통령 방침에 충실했음을 강조했다.
다른 글을 통해서도 "이재명 '1인 1표 열망 큰 건 사실'...헌법에서 보장한 평등선거 1인 1표제는 더 미룰 수 없는 당내 민주주의 과제"라면서 "이재명 정부의 국민주권시대에 걸맞게 당원주권시대로 화답해 달라"며 당원들에게 지지를 호소했다.
그는 아울러 "이재명 대표시절 원외위원장들도 1인 1표제 강력하게 요구했다"면서, 지난 2022년 6월 9일 민주당 원횓지역위원장 일동이 "전당대회 당대표 선출시 당권한의 등가성을 현저하게 왜곡하는 대의원제를 개선하고 권리당원 1인 1표제를 강력하게 요구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었음을 상기시키기도 했다.
친명 원외 더민주전국혁신회의가 전날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한 데 대한 반격인 셈.
그러면서 "당원이 주인되는 정당, 당원주권정당, 당원주권시대 등 여러가지 표현으로 이재명 대표시절부터 3년여간 1인 1표제는 꾸준히 요구되고 논의했던 사안"이라며 "당원과 대의원 1대 20 미만을 결정할 때도 많은 반대와 저항이 있었다. 그 당시도 많은 논의가 있었다. 1인 1표제는 논의할만큼 논의했고 영남권 등 전략지역 원외위원장들께서도 그 당시 어느 정도 이해하고 양해했던 사안으로 저는 기억하고 있다"며 강행 방침을 거듭 분명히 했다.
하지만 이날도 친명계의 비판은 계속됐다.
친명 강득구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당원주권 강화는 분명 옳은 방향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당대표 시절부터 추구해 온 민주당의 원칙"이라면서도 "그러나 당원주권 실현만큼이나 중요한 가치, 바로 전국정당의 완성이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등 우리 모두의 꿈이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대의원제에는 단순한 '기득권 구조'만 있는 것이 아니다. 지역 균형, 전국 정당의 기반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 당이 오랜 시간 축적해 온 전략적 보완장치가 담겨 있다"며 "따라서 1인1표제를 도입한다는 이유로 그 보완장치의 취지까지 모두 없애버린다면, 그것은 우리 당의 역사와 정체성, 가치를 훼손하는 우를 범하는 졸속 개혁이 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친명 윤종군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동진 확장 전략은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이후 우리당의 일관된 당세 확장 전략이었다. 영남 지역 당활동 활성화, 당원 자긍심 고춰를 위한 최소한의 동인을 제공하는 대안이 함께 논의 되어야 한다"고 가세했다.
그는 전당원 투표를 상설화하려는 데 대해서도 "당원주권시대는 투표를 자주, 많이 한다고 해서 이루어진다고 생각되지 않는다"며 "전당원투표 상설화와 병행해 당내 숙의민주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대안도 함께 고민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24일 당무위, 28일 중앙위를 각각 열어 이번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한다는 방침이다.
정청래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이재명 대표시절 최고위원으로서 호흡을 맞추며 당원주권정당의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며 자신은 이 대통령 방침에 충실했음을 강조했다.
다른 글을 통해서도 "이재명 '1인 1표 열망 큰 건 사실'...헌법에서 보장한 평등선거 1인 1표제는 더 미룰 수 없는 당내 민주주의 과제"라면서 "이재명 정부의 국민주권시대에 걸맞게 당원주권시대로 화답해 달라"며 당원들에게 지지를 호소했다.
그는 아울러 "이재명 대표시절 원외위원장들도 1인 1표제 강력하게 요구했다"면서, 지난 2022년 6월 9일 민주당 원횓지역위원장 일동이 "전당대회 당대표 선출시 당권한의 등가성을 현저하게 왜곡하는 대의원제를 개선하고 권리당원 1인 1표제를 강력하게 요구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었음을 상기시키기도 했다.
친명 원외 더민주전국혁신회의가 전날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한 데 대한 반격인 셈.
그러면서 "당원이 주인되는 정당, 당원주권정당, 당원주권시대 등 여러가지 표현으로 이재명 대표시절부터 3년여간 1인 1표제는 꾸준히 요구되고 논의했던 사안"이라며 "당원과 대의원 1대 20 미만을 결정할 때도 많은 반대와 저항이 있었다. 그 당시도 많은 논의가 있었다. 1인 1표제는 논의할만큼 논의했고 영남권 등 전략지역 원외위원장들께서도 그 당시 어느 정도 이해하고 양해했던 사안으로 저는 기억하고 있다"며 강행 방침을 거듭 분명히 했다.
하지만 이날도 친명계의 비판은 계속됐다.
친명 강득구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당원주권 강화는 분명 옳은 방향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당대표 시절부터 추구해 온 민주당의 원칙"이라면서도 "그러나 당원주권 실현만큼이나 중요한 가치, 바로 전국정당의 완성이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등 우리 모두의 꿈이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대의원제에는 단순한 '기득권 구조'만 있는 것이 아니다. 지역 균형, 전국 정당의 기반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 당이 오랜 시간 축적해 온 전략적 보완장치가 담겨 있다"며 "따라서 1인1표제를 도입한다는 이유로 그 보완장치의 취지까지 모두 없애버린다면, 그것은 우리 당의 역사와 정체성, 가치를 훼손하는 우를 범하는 졸속 개혁이 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친명 윤종군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동진 확장 전략은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이후 우리당의 일관된 당세 확장 전략이었다. 영남 지역 당활동 활성화, 당원 자긍심 고춰를 위한 최소한의 동인을 제공하는 대안이 함께 논의 되어야 한다"고 가세했다.
그는 전당원 투표를 상설화하려는 데 대해서도 "당원주권시대는 투표를 자주, 많이 한다고 해서 이루어진다고 생각되지 않는다"며 "전당원투표 상설화와 병행해 당내 숙의민주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대안도 함께 고민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24일 당무위, 28일 중앙위를 각각 열어 이번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