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UAE 정상회담 "100년 동행 공동선언문 채택"
대통령실 "UAE 30조 규모 인공지능 사업에 우리 기업 참여"
이재명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국과 UAE 100년 동행을 위한 새로운 도약'이라는 명칭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현지 브리핑에서 "양 정상은 양국 관계를 불가역적이고 항구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자는 의지를 담은 ‘한국과 UAE, 백 년 동행을 위한 새로운 도약’이라는 제하의 공동선언을 발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양 정상은 선언문에서 양국 간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 차원 더 높은 단계로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는데 뜻을 같이했고, 서로가 백 년의 동행을 위한 최적의 파트너임을 확인했다.
선언문에는 양국의 특별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불가역적인 수준으로 심화시키기 위한 인공지능(AI) 분야, 원전 분야를 비롯해 국방.방산 분야, 의약 분야 등의 구체적 협력 방안을 담았다.
김남준 대변인은 "양 정상은 양국 간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 차원 더 높은 단계로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는데 뜻을 같이했고, 서로가 백 년의 동행을 위한 최적의 파트너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만남을 계기로 경제·투자, 국방·방산, 원자력, AI, 보건·의료, 문화 등 양국 모두에게 중요한 전략 분야에서 공동 번영을 위한 미래지향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가기로 합의했다.
이 대통령은 회담에서 한-UAE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2023년 모하메드 대통령의 對한국 투자 공약이 양국 경제의 공동 번영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모하메드 대통령도 이에 동감하며, "AI 등 차세대 산업 분야에서 신규 투자 및 협력을 통해 양국 간 깊은 신뢰와 전략적 연대를 보여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양 정상은 굳건한 신뢰를 기반으로, 공동생산, 기술협력 등 국방·방산 분야를 더욱 전략적인 차원으로 발전시키고, 지속 가능한 협력으로 이어 나가기로 했다.
양 정상은 또한 원자력 분야에서 UAE가 지난해 9월 바라카 원전 마지막 호기인 4호기까지 상업 운전을 성공적으로 개시한 점을 높이 평가하면서, 양국 간 교류·협력의 상징 중 하나인 바라카 원전 모델을 기반으로 양국이 글로벌시장에 함께 진출하기 위한 협력 모델을 만들기로 했다.
AI 분야에서는 공동 투자와 개발, 그리고 결과물을 제3국에 수출하는 것까지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공감하면서, AI와 에너지, 방산 등 3대 분야를 통합 연계한 대형 협력 프로젝트도 발굴하고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양국은 초기 투자 규모만 30조 원에 달하는 'UAE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이 참여해 AI와 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보건·의료 분야에서 현지 의료 서비스와 바이오헬스 등 미래 의료 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고, 문화 분야에서는 중동 지역 'K-컬처' 확산을 위한 거점으로서, UAE와 한국이 문화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양 정상은 한반도 문제, 중동 정세를 포함한 지역·국제 문제에 대해서도 공조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양 정상은 정상회담 직후 AI와 첨단기술, 과학, 우주, 통상, 지식재산, 의약, 원자력 등 분야에서 총 7건의 협력 문건을 교환했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이번 회담을 통해 "인공지능(AI) 200억 달러, 방위 산업 150억 달, K-컬쳐는 시장가치로 환상한 경우 704억 달러 등 총 1천억 달러가 넘는 성과가 기대된다"며 "이번 정상회담은 단순한 우호 과시에 멈추는 것이 아니라 경제동맹의 출발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실장은 "양국은 수시로 소통을 이어 나가기로 약속했고,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만나서 소통하기로 했다"며 "양국 간에 적시성 있는 소통을 통해 정상 간의 합의 사항이 빠른 시일 내 구체적인 성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현지 브리핑에서 "양 정상은 양국 관계를 불가역적이고 항구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자는 의지를 담은 ‘한국과 UAE, 백 년 동행을 위한 새로운 도약’이라는 제하의 공동선언을 발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양 정상은 선언문에서 양국 간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 차원 더 높은 단계로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는데 뜻을 같이했고, 서로가 백 년의 동행을 위한 최적의 파트너임을 확인했다.
선언문에는 양국의 특별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불가역적인 수준으로 심화시키기 위한 인공지능(AI) 분야, 원전 분야를 비롯해 국방.방산 분야, 의약 분야 등의 구체적 협력 방안을 담았다.
김남준 대변인은 "양 정상은 양국 간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 차원 더 높은 단계로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는데 뜻을 같이했고, 서로가 백 년의 동행을 위한 최적의 파트너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만남을 계기로 경제·투자, 국방·방산, 원자력, AI, 보건·의료, 문화 등 양국 모두에게 중요한 전략 분야에서 공동 번영을 위한 미래지향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가기로 합의했다.
이 대통령은 회담에서 한-UAE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2023년 모하메드 대통령의 對한국 투자 공약이 양국 경제의 공동 번영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모하메드 대통령도 이에 동감하며, "AI 등 차세대 산업 분야에서 신규 투자 및 협력을 통해 양국 간 깊은 신뢰와 전략적 연대를 보여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양 정상은 굳건한 신뢰를 기반으로, 공동생산, 기술협력 등 국방·방산 분야를 더욱 전략적인 차원으로 발전시키고, 지속 가능한 협력으로 이어 나가기로 했다.
양 정상은 또한 원자력 분야에서 UAE가 지난해 9월 바라카 원전 마지막 호기인 4호기까지 상업 운전을 성공적으로 개시한 점을 높이 평가하면서, 양국 간 교류·협력의 상징 중 하나인 바라카 원전 모델을 기반으로 양국이 글로벌시장에 함께 진출하기 위한 협력 모델을 만들기로 했다.
AI 분야에서는 공동 투자와 개발, 그리고 결과물을 제3국에 수출하는 것까지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공감하면서, AI와 에너지, 방산 등 3대 분야를 통합 연계한 대형 협력 프로젝트도 발굴하고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양국은 초기 투자 규모만 30조 원에 달하는 'UAE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이 참여해 AI와 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보건·의료 분야에서 현지 의료 서비스와 바이오헬스 등 미래 의료 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고, 문화 분야에서는 중동 지역 'K-컬처' 확산을 위한 거점으로서, UAE와 한국이 문화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양 정상은 한반도 문제, 중동 정세를 포함한 지역·국제 문제에 대해서도 공조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양 정상은 정상회담 직후 AI와 첨단기술, 과학, 우주, 통상, 지식재산, 의약, 원자력 등 분야에서 총 7건의 협력 문건을 교환했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이번 회담을 통해 "인공지능(AI) 200억 달러, 방위 산업 150억 달, K-컬쳐는 시장가치로 환상한 경우 704억 달러 등 총 1천억 달러가 넘는 성과가 기대된다"며 "이번 정상회담은 단순한 우호 과시에 멈추는 것이 아니라 경제동맹의 출발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실장은 "양국은 수시로 소통을 이어 나가기로 약속했고,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만나서 소통하기로 했다"며 "양국 간에 적시성 있는 소통을 통해 정상 간의 합의 사항이 빠른 시일 내 구체적인 성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