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아시아순방때 김정은 회동 비공개 논의"
CNN "진지한 계획은 세우지 않아. 성사 가능성도 회의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아시아를 방문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회동하는 방안을 미국 정부가 비공개적으로 논의해왔다고 CNN이 18일 보도했다.
CNN은 이날 소식통 두 명의 말을 인용,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이 트럼프와 김정은 간 회담 개최 방안을 비공개로 논의했다”며 “그러나 회담이 궁극적으로 성사될지는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들은 CNN에 “트럼프가 올초 김정은에게 (서신을 통해) 처음 접촉했지만 북한이 서한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도 트럼프와 김정은 회동에 필요한 진지한 계획을 아직 세우지 않았고, 트럼프 1기 당시 미·북 정상회담 때와 같은 소통도 없는 상태라고 CNN은 전했다.
그러면서 트럼프가 미중 무역갈등이 고조된 상황에서 이번 아시아 순방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에 더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CNN은 그러나 트럼프가 그간 김정은을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수차례 밝혀왔음을 고려할 때 미·북 정상회담과 관련한 상황이 급진전할 수도 있다며, 2019년 트럼프가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에게 만남을 제안하고, 48시간도 되지 않아 판문점에서 악수를 한 사실을 거론하기도 했다.
소식통들은 “트럼프가 김정은과의 만남 가능성에 관심을 보인 계기는 지난 8월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이 백악관을 방문한 이후였다”고 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트럼프를 APEC 정상회의에 공식 초청하면서 그에게 “이 자리가 김정은과 만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고, 당시 트럼프는 이 대통령에게 김정은과의 회동에 열려 있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살펴보겠다”고 말했다고 CNN은 보도했다.
강경화 주미대사는 전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 국정감사때 APEC 계기 북미정상회동 가능성에 대해 질문받자 "트럼프 대통령이 대화에 열려 있다고 밝혔고 북한으로서도 그런 조짐을 보였지만, APEC을 계기로 무엇인가 이뤄질 거라는 조짐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다만 "가능성에 대해선 항상 열어놓고 동향을 파악 중"이라고 덧붙였다.
CNN은 이날 소식통 두 명의 말을 인용,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이 트럼프와 김정은 간 회담 개최 방안을 비공개로 논의했다”며 “그러나 회담이 궁극적으로 성사될지는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들은 CNN에 “트럼프가 올초 김정은에게 (서신을 통해) 처음 접촉했지만 북한이 서한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도 트럼프와 김정은 회동에 필요한 진지한 계획을 아직 세우지 않았고, 트럼프 1기 당시 미·북 정상회담 때와 같은 소통도 없는 상태라고 CNN은 전했다.
그러면서 트럼프가 미중 무역갈등이 고조된 상황에서 이번 아시아 순방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에 더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CNN은 그러나 트럼프가 그간 김정은을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수차례 밝혀왔음을 고려할 때 미·북 정상회담과 관련한 상황이 급진전할 수도 있다며, 2019년 트럼프가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에게 만남을 제안하고, 48시간도 되지 않아 판문점에서 악수를 한 사실을 거론하기도 했다.
소식통들은 “트럼프가 김정은과의 만남 가능성에 관심을 보인 계기는 지난 8월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이 백악관을 방문한 이후였다”고 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트럼프를 APEC 정상회의에 공식 초청하면서 그에게 “이 자리가 김정은과 만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고, 당시 트럼프는 이 대통령에게 김정은과의 회동에 열려 있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살펴보겠다”고 말했다고 CNN은 보도했다.
강경화 주미대사는 전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 국정감사때 APEC 계기 북미정상회동 가능성에 대해 질문받자 "트럼프 대통령이 대화에 열려 있다고 밝혔고 북한으로서도 그런 조짐을 보였지만, APEC을 계기로 무엇인가 이뤄질 거라는 조짐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다만 "가능성에 대해선 항상 열어놓고 동향을 파악 중"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