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주장해온 새누리당 비박계가 29일 박 대통령의 대국민담화후 크게 동요하는 모습을 보여, 국회가 탄핵 정족수를 채울 수 있을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김무성, 나경원, 정병국, 김재경 등 비박계 의원 20여명은 이날 오후 대국민담화 직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모여 30여 분간 비공개 모임을 가졌다. 김 전 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일단 의원총회 논의를 지켜보겠다”며 언급을 피했다
나경원 의원은 “대통령이 늦게라도 퇴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은 다행”이라며 “일단 야당에서 즉각적으로 거부 입장을 밝혔는데 여야가 기한을 정해서 한번쯤 퇴진 일시를 얘기해보는 것이 필요하다”며 여야 대화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탄핵 입장에 대한 변화가 없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일단 여야 합의를 지켜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며 "임기 단축에 대한 여야 합의 일정을 먼저 봐야할 듯 하다”며 즉답을 피했다.
하태경 의원도 “개인적 생각으로는 12월 2일에 국회가 하야 촉구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대통령이 약속한 대로 국회가 일정 부분 방법을 제시했으니 그걸 수용하고 하야절차가 진행되는지 보고, 국회 합의를 대통령이 수용하지 않으면 탄핵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며 종전의 탄핵 주장에서 한걸음 물러났다
박성중 의원 역시 “박 대통령의 발언이 있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받아들이자는 분위기”라고 비박계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탄핵은 버릴 카드가 아니다"라면서도 "그대로 가지고 있되 다른 조치를 국회에서 취해야 한다. 나중에 정 안됐을 때 야당이 탄핵카드를 버리지 않았는데 우리가 버린다고 해서 버리는 게 아니지 않냐”며 일단 탄핵에 앞서 여야간 대화를 주문했다.
이어진 의총에서 친박 좌장 서청원 의원이 비박계의 이정현 대표 사퇴, 비대위 구성 요구를 전폭 수용함에 따라 새누리당 비박계의 동요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국민의 힘으로.. 국회를 해산할 준비를 하자.. 국민의 마음을 대변하라고 뽑아놓은 것들이.. 댓통년 탄핵안이 가결되지 않는다면.. 그건.. 국민을 우롱하는 일이다.. 우리는 그거를 대비해서.. 국회를 해산시킬 준비를 해야한다.. 국회 해산 방법 강구하자.. 이제부터라도.. 저.. 개눌당.. 엿놈들.. 순실이 부역자 놈들.. 처단시킬 준비를 하자
아직 야당안과 비박계안이 합의도 안됐는데 2일 표결 처리하겠다는 것은 무리다. 우상호 총무가 좀 치밀한 줄 알았는데 모습대로 활달하지만 좀 우활하게 서두르는 면이 있다. 12월 9일도 되고 그 다음도 된다. 아니, 특검에서 어느 정도 결과가 나온 뒤에 걸어도 된다. 청와대의 계략대로 일단 키는 비박계가 쥐고 말았다. 문제는 촛불이 평화집회가 되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