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李대통령 "통일은 최종 목표, 점진적-단계적 추구"

"한미 동맹 공고히 하면서, 한중 관계도 조화롭게 발전"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통일은 여전히 우리의 최종 목표다. 이는 단지 이상적 지향이 아니라, 한국 헌법에 명시된 책무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튀르키예 국빈 방문을 앞두고 공개된 튀르키예 <아나돌루통신>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다만 우리 정부는 일방적 방식의 통일을 지향하지 않는다"며 "대신 한반도 전체 구성원의 민주적 의사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평화로운 공존과 상호 발전을 통해 점진적·단계적 통일을 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남북 관계는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모든 소통 채널이 끊겼고, 상호 신뢰는 크게 훼손되었다"며 "그렇기 때문에 대화를 다시 여는 일이 저에게 가장 중요한 우선 과제 가운데 하나"라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북한과 언제, 어떤 채널을 통해서라도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대화의 문은 계속 열려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한반도 평화의 필수적인 파트너인 미국과도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저는 대화 재개를 위한 적절한 환경을 어떻게 조성할 것인지에 대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한국은 필요할 경우 건설적 중재자이자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독자적 핵무장 가능성에 대해선 "대한민국 정부는 NPT 체제 아래에서 핵무기 확산을 막고, 핵에너지를 평화적으로만 이용한다는 원칙을 일관되게 지지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이 대통령은 "안보 측면에서 볼 때, 동북아에서 군비 경쟁이 격화되는 대결 구도가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 동맹을 미래 지향적인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발전시키는 한편, 중국과의 우호적 관계도 유지·발전시키려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함으로써 동북아 지역의 긴장을 완화하고 공동 번영을 촉진하는 ‘가교(bridge)’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세계적 차원에서도 안정과 번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최병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3 개 있습니다.

  • 0 0
    미국

    동북아 지역의 긴장을 고조하고 공동 번영을 파괴 하고
    세계적 차원에서도 불안과 파괴를 추구하며
    한반도 전체 구성원의 어떠한 의사도 거부한다

    평화로운 공존과 상호 발전을 통해 점진적·단계적 통일 추구하면
    친북 좌파 반미 빨갱이

  • 1 0
    전투왕

    아가리로만 나불대지 말고

    연찬 , 탄현 땅굴가 삽질해라.

    그럼 업적 하나 남을겨

  • 0 0
    아뢰오

    좋은 대안
    좋은 구상입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