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반복되는 산재사고 수치스러워"
"수많은 전태일이 생과 사의 경계에 놓여 있어"
이재명 대통령은 13일 전태일 열사 55주기를 맞아 "청년 전태일의 외침은 우리 사회가 여기까지 오는데 정말로 소중한 불씨가 되었지만, 우리의 노동 현실이 가야 될 길은 아직도 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최근 울산 화력에서 발생한 안타까운 사건에서 보는 것처럼 지금도 수많은 전태일들이 일터에서 생과 사의 경계에 놓여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충분히 예측되는 추락사고 또 폐쇄 공간의 질식사고가 계속 반복적으로 벌어지고 있다"며 "먹고 살자고 갔던 일터에서 다치거나 죽는 일이 더 이상 반복돼서는 안된다"며 자신의 지시에도 대형산재가 잇따르고 있는 데 대해 질책했다.
특히 "피할 수 없다면 어쩔 수 없겠지만 조금만 신경 쓰면 피할 수 있는 일들이 계속 반복되는 것은 참으로 안타깝고 국제사회에서 볼 때는 참으로 수치스러운 일"이라며 "산업안전의 패러다임 그리고 인식을 근본에서 새롭게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정부는 안전 중심의 현장관리체계 구축에 힘을 쓰고 기업들도 이 안전이라고 하는 문제를 줄여야 될 비용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게 아니고 당연히 늘려가야 될 투자다라는 인식을 가져야 할 것"이라며 관계부처들이 겨울철 위험 사업장에 대한 안전점검도 서두르도록 조치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최근 울산 화력에서 발생한 안타까운 사건에서 보는 것처럼 지금도 수많은 전태일들이 일터에서 생과 사의 경계에 놓여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충분히 예측되는 추락사고 또 폐쇄 공간의 질식사고가 계속 반복적으로 벌어지고 있다"며 "먹고 살자고 갔던 일터에서 다치거나 죽는 일이 더 이상 반복돼서는 안된다"며 자신의 지시에도 대형산재가 잇따르고 있는 데 대해 질책했다.
특히 "피할 수 없다면 어쩔 수 없겠지만 조금만 신경 쓰면 피할 수 있는 일들이 계속 반복되는 것은 참으로 안타깝고 국제사회에서 볼 때는 참으로 수치스러운 일"이라며 "산업안전의 패러다임 그리고 인식을 근본에서 새롭게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정부는 안전 중심의 현장관리체계 구축에 힘을 쓰고 기업들도 이 안전이라고 하는 문제를 줄여야 될 비용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게 아니고 당연히 늘려가야 될 투자다라는 인식을 가져야 할 것"이라며 관계부처들이 겨울철 위험 사업장에 대한 안전점검도 서두르도록 조치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