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선 효과' 작동. 구리-화성-기흥 등 아파트값 급등
규제지역도 "다시 집값 오를 것" 판단에 하락폭 낮아
6일 한국부동산원의 '11월 첫째 주(11월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19% 상승, 전주(0.23%)보다 상승폭을 줄였다. 2주 연속 상승세 둔화다.
성동구(0.37%→0.29%), 광진구(0.20%→0.15%), 마포구(0.32%→0.23%), 영등포구(0.37%→0.26%) 등 이전까지 비규제지역이었던 한강벨트 권역을 중심으로 상승폭 축소가 뚜렷했다.
다만 송파구(0.48%→0.43%), 동작구(0.44%→0.43%), 강동구(0.42%→0.35%), 양천구(0.38%→0.34%) 등은 오름세는 소폭 둔화했으나 여전히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강북구(0.01%), 도봉구(0.02%), 노원구(0.05%→0.03%), 중랑구(0.02%), 금천구(0.05%→0.04%) 등 대책 시행 이전에도 집값 상승폭이 크지 않았던 외곽지역은 거의 오르지 않았다.
경기도권에서는 과천시(0.58%→0.44%), 성남시 분당구(0.82%→0.59%), 광명시(0.48%→0.38%), 하남시(0.58%→0.40%) 등의 오름세 둔화가 관찰됐으나 타 지역보다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10.15 대책후 거래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집값을 오를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높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는 것.
규제를 적용받지 않은 경기도 지역에선 예상대로 상승폭이 커지는 풍선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동탄을 낀 화성시는 2주 전 보합에서 직전 주 0.13% 오른 데 이어 이번 주에는 상승률이 0.26%로 커졌다. 화성시 상승률은 2024년 8월 넷째 주(0.27%) 이후 61주 만에 최대다.
구리시(0.18%→0.52%)는 전주보다 상승폭이 크게 확대됐다. 구리시는 2020년 6월 넷째 주(0.62%) 이후 279주 만에 쵣애 상승폭을 기록했다.
용인시 수지구 인근의 기흥구(0.05%→0.21%)도 오름폭이 커졌다.
인천도 전주 0.02%에서 0.05%로 상승률이 커졌다.
지방(0.01%)도 2023년 11월 넷째 주 하락 전환 이후 100주 만에 상승으로 돌아섰다.
5대 광역시(0.00%→0.01%) 중에서는 울산(0.09%→0.11%), 부산(0.02%→0.03%), 광주(0.00%→0.01%)가 상승했고 세종시(-0.09%→0.00%)는 하락에서 보합 전환했다. 8개 도는 평균 0.01% 올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