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10.15 대책에도 서울-경기 계속 '지글지글'

서울-경기 청약 경쟁률 '세 자릿 수' 열기

10·15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규제 지역인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의 지난달 부동산 시장 소비심리는 상승하고 청약시장도 뜨거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 부족 등으로 아파트 값이 계속 오를 것이라는 심리가 전혀 식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17일 국토연구원의 '10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20.8로 전월보다 3.3포인트 올랐다.

이는 지난달 마지막 주에 전국 152개 시군구에서 영업 중인 중개업소와 일반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가격이 올랐거나 거래가 늘었다는 응답이 많다는 뜻이고, 115 이상이면 상승 국면임을 의미한다.

수도권(127.0)은 전월보다 5.3포인트 급등하며 상승 국면을 이어갔다.

서울(137.5)은 4.1포인트, 인천(108.9)은 6.6포인트, 경기(124.9)는 5.7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반면에 비수도권(113.2)은 1.2포인트 상승에 그쳤다. 울산(-9.6포인트), 충남(-4.9포인트), 제주(-4.1포인트) 등은 오히려 내렸다.

전국 주택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109.0)도 전월보다 2.8포인트 올랐다.

수도권(110.9)은 3.0포인트, 비수도권(106.5)은 2.5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서울(112.0→115.8)과 세종(114.2→123.8)은 상승 국면으로 전환했다.

10.15 대책에도 서울과 경기도의 청약 시장은 뜨거웠다.

<직방>이 한국부동산홈의 10월 청약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에서는 '힐스테이트 이수역 센트럴'(326.7대 1)과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237.5대 1)이, 경기에서는 '더샵 분당 티에르원'(100.4대 1)이 무려 세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했다. 대출 규제에도 현금만으로 청약을 받을 수 있는 '현금 부자'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경기 김포시 '풍무역 푸르지오 더 마크'(17.4대 1)와 '김포 풍무역세권 B5블록 호반써밋'(7.3대 1), 경기 안양시 '만안역 중앙하이츠 포레'(7.1대 1) 등 규제에서 제외한 경기도에서 '풍선 효과'도 목격 됐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1 0
    대장동 그분들

    아스피다

    개돼지들 월급 모은거 뭉치로 뜯어가는 ㅋㅋ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