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서학개미 계속 '해외주식 폭식'. 환율 상승의 한 요인

서학개미 해외주식 1천750억달러 보유. 국민연금도 적극 투자

서학개미 등의 해외투자 급증 등으로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 대비 순대외자산 비율이 균형 수준보다 크게 높아져 원/달러 환율 불안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 한국은행 보고서 <순대외자산 안정화 가능성 평가와 시사점>에 따르면, 우리나라 순대외자산(NFA·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2014년 3분기 플러스(+)로 전환한 뒤 지난해 4분기 1조달러를 넘어섰다. 올해 6월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NFA 비율은 55%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한은이 국민소득, 인구구조 등 펀더멘털(기초) 지표를 바탕으로 산출한 우리나라의 균형 NFA 비율(GDP 대비)은 2015년 -3%에서 2023년 30%로 올라섰고 그해 실제 NFA 비율의 경우 47%에 달했다.

현재는 55%로, 2023년 기준 균형 비율보다는 높은 상태다.

이희은 한은 해외투자분석팀 과장은 "최근 한국 NFA 비율이 균형 수준을 넘어 빠르게 높아진 데는 인구 고령화 등에 따른 국내 자산 수익률 저하, 연기금 등의 대규모 해외 투자 등이 영향을 미쳤다"며 "NFA 증가는 대외 건전성 강화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자본의 해외 유출에 따른 국내 자본시장 투자 기반 약화, 달러 수요 증가에 따른 원화 약세 압력, 글로벌 위험 노출 확대, 무역 불균형에 따른 통상 압력 등 부정적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거주자의 해외투자 증가로 NFA 구성의 중심이 준비자산·은행 부문(기타투자)에서 민간 부문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은행·공공부문 외화자산이 외환 수급 변동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유의해야 한다"며 유사시 외환 위기의 한 요인이 될 수도 있음을 지적했다.

국내 증시 활황에도 개미들의 해외주식 투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10월말 현재 서학개미의 해외주식 보유액은 1천750억달러에 달하고 있다. 이 가운데 93.9%인 1천666억8천만달러가 미국 주식이다.

국내 증시 '불장'에도 불구하고 10월 한달새 역대최대인 68억1천만달러가 늘어났다. 이 가운데 미국 주식이 68억5천만달러로 대부분이었다.

국민연금의 해외주식 투자 규모도 만만치 않다.

올해 6월 말 기준, 총 1천269조1천355억원에 달하는 국민연금 적립금 중 주식(국내 및 해외)에 투자된 금액은 635조5천734억원으로, 전체 자산의 50.1%를 차지했다.

국민연금 적립금 중 36.8%가 해외주식 투자이고, 14.9%가 국내주식 투자다(1~8월 누적액).
박태견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