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황 "한국에 GPU 26만장 공급하겠다"
李대통령 "한국은 최적의 파트너. 지원 아끼지 않겠다"
젠슨 황 엔비디아 대표는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SK그룹 최태원 회장,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 네이버 이해진 의장과 함께 이재명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 이같은 '한국 인프라·기술 발전 AI 이니셔티브' 플랜을 밝혔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정부에 최대 5만개 GPU를 배치해 기업과 산업의 AI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삼성과 SK그룹, 현대차그룹은 각각 최대 5만개의 GPU를,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개의 GPU를 도입한다.
아울러 엔비디아는 AI 네이티브(내장) 6G 무선 네트워크, AI 무선접속망(RAN) 개발에도 협력한다. 여기에는 삼성전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연세대학교가 함께한다.
또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와 '양자컴퓨팅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국가 슈퍼컴퓨터 '한강'을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 연구도 추진한다.
LG와는 로보틱스 기술을 발전시키고,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을 활용해 스타트업과 학계의 암 진단 연구 생태계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이에 대해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이라며 "최근 한국을 아·태 지역 AI 허브로 발전시키는 프로젝트에 블랙록,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기업이 함께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엔비디아도 동참해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 하는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 가기를 기대한다"고 반색했다.
이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AI 혁신의 속도를 담당하고 있다면, 한국은 이 속도를 잘 활용해 혁신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오늘 논의된 협력 방안이 한국을 넘어 국제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젠슨 황은 "여정에 엔비디아가 함께할 것"이라며 "AI 인프라 구축, 인재 및 스타트업 육성, 자율주행 로봇 등 피지컬 AI를 포함하는 여러 측면에서 국내 기업과 실질적 협력을 적극 확대하겠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소프트웨어에 강점이 있지만 제조업이 약하고 유럽은 반대로 제조업이 강하지만 소프트웨어가 약한데, 한국은 두 역량을 두루 갖췄다"며 한국이 AI 분야 리더가 될 가능성은 무한대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