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12.1조, 3년만에 최대

매출 86조원으로 역대 분기 최대. '어닝 서프라이즈'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12조원대 영업이익으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14일 연결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12조1천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1.8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전 분기(4조6천800억원) 대비 158.55% 급증하며 2022년 2분기(14조1천억원) 이후 3년여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이 10조원대를 회복한 것은 지난해 2분기(10조4천400억원) 이후 5분기 만이다.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8.72% 늘아난 86조원으로, 전 분기 대비 15.33%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삼성전자 분기 매출이 80조원대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실적은 증권가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1개월 내 보고서를 낸 증권사 17곳의 컨센서스(실적 전망치)를 집계한 결과 삼성전자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41% 증가한 84조1천716억원, 영업이익은 12.21% 증가한 10조3천43억원이었다.

이날 부문별 실적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6조원대 영업이익을 내면서 2분기 4천억원 대비 15배 넘게 실적이 반등한 것으로 보고 있다. D램 가격의 지속적 상승과 고대역폭 메모리(HBM) 출하량 증가, 비메모리 사업의 적자 규모 축소 등 호재가 겹친 결과로 풀이된다.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 사업부도 폴더블 신제품 판매 증가에 힘입어 3조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견조한 실적을 이어간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 실적은 메모리 슈퍼사이클 도래로 3분기를 시작으로 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등세가 앞으로 상당 기간 계속될 것이라는 게 국내외의 지배적 전망이다.

AI 확산에 따른 서버향 메모리 수요 급증과 가격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고, HBM도 본격적으로 공급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삼성전자는 700조원 규모로 추진되는 오픈AI의 초거대 AI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고성능·저전력 메모리를 대규모로 공급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협력 관계인 AMD가 오픈AI와 대규모 그래픽처리장치(GPU) 공급 계약을 맺은 데 따라 HBM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엔비디아와는 5세대 HBM3E 공급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6세대 HBM4 공급을 위한 인증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글로벌 HBM 시장에서 17%로 3위를 기록했지만, 내년에는 HBM4 양산을 기반으로 약 30%의 점유율을 차지할 전망이다.
박태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4 0
    일단/ 모두 던져라

    10만원 돌피하고 안정적으로 안착하면
    그 때 들러가야___________________________ 물론/ 10만원 지지선 깨지면 손절하고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