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이집트 정상회담 "포괄적경제동반자 협력 추진"
알시시 대통령 "한국 기업, 가자지구 재건 사업 적극 참여 기대"
이집트를 공식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압델 파타 알시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이집트 포괄적경제동반자협력(CEPA)'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카이로 대통령궁에서 정상회담후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경제 협력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한-이집트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세파(CEPA)는 광범위한 경제 협력을 뒷받침할 중요한 제도적 기반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양국 간 세파(CEPA) 협상이 조속히 개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양국은 경제자유구역에 대해서도 교류와 협력을 추진해 나가기로 합의했다"며 "우리는 '한-이집트 사회보장협정'이 타결된 것을 환영했며, 양국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늘려 나갈 수 있도록 조속히 협정을 체결하자는 점에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양국간 핵심 협력 분야인 방산 분야에 "K-9 자주포 공동생산으로 대표되는 양국의 방산 협력이 앞으로 FA-50 고등훈련기 및 천검 대전차 미사일 등으로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교육분야 협력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알시시 대통령은 한국이 교육을 통해 번영을 이루어 낸 점에 대해 깊은 관심을 표명했다"며 "교육 협력 MOU을 체결을 통해 과학 교육, 한국어 교육, 직업기술 교육 및 교육의 디지털 전환 등 여러 분야에서 양국은 앞으로 더욱 긴밀하게 협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한국과 이집트는 ‘평화 촉진자’로서 한반도와 중동을 포함한 국제평화에 함께 기여하기로 했다"며 "우리는 한반도와 중동지역 평화를 위한 서로의 역할을 지지하며, 동시에 국제평화를 위해 계속 연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문화 강국인 한국과 이집트 간 문화 협력의 지평을 더욱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며 " 양국은 문화 협력 MOU를 체결해 시청각예술, 공연예술, 출판, 박물관 및 도서관 등의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기반으로 양국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 교류가 더욱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알시시 대통령은 "경제 협력과 한국 기업들이 이집트에 참여하는 여러 중요한 프로젝트에 관하여 이야기했다"며 "이 기회를 빌려 이집트 내에 활동하는 한국 기업들이 사업의 규모를 확대하고, 더 많은 투자를 할 것을 초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 기업이 수에즈 운하 경제구역에 석유화학 공장 사업을 시작할 것을 장려한다. 이 분야에 한국의 기술 능력이 유익하게 이용될 것 같다"며 "이외에도 자동차 생산 기업과 조선 기업의 이집트의 시장 내 존재를 확대할 것을 장려한다. 이집트에 새로운 공장을 설립하고, 이 분야에 이집트 정부가 마련해 놓은 투자 장려 환경을 이용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특히 가자지구 휴전을 언급하며 "많은 국가들이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할 것을 기대한다. 가자지구의 재건설 사업에 한국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하겠다"고 밝혔다.
양국은 정상회담 직후 양 정상 임석 하에 '교육 부문 협력 MOU', '문화 협력 MOU' 총 2건의 협력 문건과을 체결하고, '디지털정부협력센터 설립 및 운영에 관한 MOU'도 별도로 체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카이로 대통령궁에서 정상회담후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경제 협력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한-이집트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세파(CEPA)는 광범위한 경제 협력을 뒷받침할 중요한 제도적 기반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양국 간 세파(CEPA) 협상이 조속히 개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양국은 경제자유구역에 대해서도 교류와 협력을 추진해 나가기로 합의했다"며 "우리는 '한-이집트 사회보장협정'이 타결된 것을 환영했며, 양국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늘려 나갈 수 있도록 조속히 협정을 체결하자는 점에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양국간 핵심 협력 분야인 방산 분야에 "K-9 자주포 공동생산으로 대표되는 양국의 방산 협력이 앞으로 FA-50 고등훈련기 및 천검 대전차 미사일 등으로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교육분야 협력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알시시 대통령은 한국이 교육을 통해 번영을 이루어 낸 점에 대해 깊은 관심을 표명했다"며 "교육 협력 MOU을 체결을 통해 과학 교육, 한국어 교육, 직업기술 교육 및 교육의 디지털 전환 등 여러 분야에서 양국은 앞으로 더욱 긴밀하게 협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한국과 이집트는 ‘평화 촉진자’로서 한반도와 중동을 포함한 국제평화에 함께 기여하기로 했다"며 "우리는 한반도와 중동지역 평화를 위한 서로의 역할을 지지하며, 동시에 국제평화를 위해 계속 연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문화 강국인 한국과 이집트 간 문화 협력의 지평을 더욱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며 " 양국은 문화 협력 MOU를 체결해 시청각예술, 공연예술, 출판, 박물관 및 도서관 등의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기반으로 양국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 교류가 더욱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알시시 대통령은 "경제 협력과 한국 기업들이 이집트에 참여하는 여러 중요한 프로젝트에 관하여 이야기했다"며 "이 기회를 빌려 이집트 내에 활동하는 한국 기업들이 사업의 규모를 확대하고, 더 많은 투자를 할 것을 초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 기업이 수에즈 운하 경제구역에 석유화학 공장 사업을 시작할 것을 장려한다. 이 분야에 한국의 기술 능력이 유익하게 이용될 것 같다"며 "이외에도 자동차 생산 기업과 조선 기업의 이집트의 시장 내 존재를 확대할 것을 장려한다. 이집트에 새로운 공장을 설립하고, 이 분야에 이집트 정부가 마련해 놓은 투자 장려 환경을 이용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특히 가자지구 휴전을 언급하며 "많은 국가들이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할 것을 기대한다. 가자지구의 재건설 사업에 한국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하겠다"고 밝혔다.
양국은 정상회담 직후 양 정상 임석 하에 '교육 부문 협력 MOU', '문화 협력 MOU' 총 2건의 협력 문건과을 체결하고, '디지털정부협력센터 설립 및 운영에 관한 MOU'도 별도로 체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