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살만 "1조달러 투자하겠다", 트럼프 "F-35 팔겠다"
트럼프, 대미투자 늘리고 가족사업 협력하는 빈살만에 '초특급' 예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18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양자 회담을 개최하고 양국간 경제·방위 협력을 확대하기로 뜻을 모았다.
빈 살만 왕세자는 사우디가 약속한 대미 투자액을 기존 6천억 달러(약 876조원)에서 1조 달러(약 1천460조원) 규모로 늘리겠다고 했으며,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F-35 전투기 등 첨단무기 판매와 사우디가 오랫동안 원했던 원자력에너지 협력을 약속했다.
백악관이 이날 회담 후 공개한 팩트시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는 미-사우디 전략방위협정(Strategic Defense Agreement·SDA)을 체결했다.
SDA는 미국 방산기업이 사우디에서 운영하는 것을 더 쉽게 하며, 미국의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우디로부터 새로운 '부담 공유' 자금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백악관은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F-35 전투기를 포함한 무기 판매를 승인했으며 사우디가 거의 300대의 미국 탱크를 구매할 수 있게 하는 협정을 확보했다.
그간 미국에서는 사우디에 F-35 전투기를 판매하면 중동에서 이스라엘의 군사 우위가 약화되거나 중국으로 전투기 기술이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양국은 '민간 원자력에너지 협력 협상 완료에 대한 공동성명'도 발표했다.
이는 사우디와 수십년간 진행될 수십억달러 규모의 원자력에너지 협력을 위한 법적 기반을 구축하는 의미가 있으며 사우디가 원자력 협력 파트너로서 미국과 미국 기업을 우선한다는 입장을 확인한 것이라고 백악관은 설명했다.
사우디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도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려고 미국과 협상했으나 사우디가 핵무기 개발을 추진할 수 있다는 미국 내 우려 때문에 무산됐다.
백악관은 모든 원자력 협력은 강력한 비확산 기준을 준수하며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우디는 한국도 원전 수출을 위해 공을 들여온 나라라는 점에서 미국과 사우디의 이번 공동성명이 한국의 수주 전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미국과 사우디는 인공지능(AI) 양해각서도 체결했는데 이는 미국 기술을 외국의 영향력에서 보호하면서 세계 최고 수준의 미국 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사우디에 제공하는 것이라고 백악관은 설명했다.
핵심광물 협력을 위한 프레임워크 서명도 이날 이뤄졌다.
미국과의 협력 성사에 화답이라도 하듯 빈 살만 왕세자는 이날 사우디의 대미 투자액을 6천억 달러에서 1조 달러 규모로 상향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 5월 사우디 방문을 계기로 사우디가 미국에 6천억 달러 규모 투자를 하기로 합의가 이뤄졌는데, 당초 예정된 금액에서 4천억 달러를 추가 투자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빈 살만 왕세자는 2018년 10월 사우디 반정부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면서 사실상 외교적 고립 상태였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3월 이후 7년여 만에 미국을 찾은 빈 살만 왕세자를 '최상급' 국빈 방문에 준하는 수준으로 예우했다.
이날 오전 백악관 사우스론에서 열린 환영식에선 의장대가 도열하고 군악대가 연주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빈 살만 왕세자를 맞이했다. 두 사람은 미군 전투기가 백악관 상공에서 환영비행을 하는 모습을 함께 지켜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빈 살만 왕세자와 오찬을 함께 한 데 이어 120명을 초청한 공식 만찬도 주재했다.
암살 사건 이후 양국 관계가 다소 껄끄러웠던 상황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사우디의 실권자인 빈 살만 왕세자에 대해 파격 의전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양자 회담에서 빈 살만 왕세자에 대해 "매우 존경받는 분", "나의 오랜 친구"라고 치켜세우며 "인권 문제를 비롯해 여러 분야에서 그가 이룬 성과는 정말 놀라운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양국 관계에 대해 "우리는 오랫동안 정말로 좋은 친구였다"며 "모든 이슈에서 항상 같은 편에 서 있었고, 이란의 핵 능력을 없애는 데에도 우리가 훌륭한 일을 해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카슈끄지 암살 사건 배후에 빈 살만 왕세자가 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직접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사람(카슈끄지)은 매우 논란이 큰 인물이었다. 많은 사람이 그를 좋아하지 않았다"며 "그(빈 살만 왕세자)는 그 일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고 밝힌 뒤 질문한 기자에게 "손님을 당황하게 하는 질문을 하지 말라"고 말했다.
앞서 미 중앙정보국(CIA)이 빈 살만 왕세자를 카슈끄지 암살의 배후로 판단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빈 살만 왕세자가 이 사건과 무관하다며 '면죄부'를 주려 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건 이후 줄곧 사우디와 빈 살만 왕세자를 꾸준히 옹호해왔다.
한편 빈 살만 왕세자는 이스라엘과 아랍국가 간 국교를 정상화하기 위한 '아브라함 협정'에 사우디가 참여할지와 관련, "협정의 일원이 되기를 원한다"면서도 "동시에 '두 국가 해법'을 위한 명확한 길이 보장되도록 확실히 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을 허용해야 한다는 사우디의 종전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이 불가하다는 입장이어서 아브라함 협정 확대 가능성은 현재로선 작아 보인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자기 가족이 사우디에서 사업을 하는 것이 '이해충돌 아니냐'는 지적에 "나는 가족 사업과 아무 관련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가족들의 사업에 대해 "그들이 하는 일은 괜찮다. 그들은 세계 곳곳에서 사업을 한다. 사실 사우디에서는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미 언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두 아들이 이끄는 트럼프 오거니제이션은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 트럼프 브랜드로 부동산 건설을 계획 중이며, 트럼프 대통령의 맏사위 재러드 쿠슈너는 빈 살만 왕세자와 사업 파트너 관계이다.
빈 살만 왕세자는 사우디가 약속한 대미 투자액을 기존 6천억 달러(약 876조원)에서 1조 달러(약 1천460조원) 규모로 늘리겠다고 했으며,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F-35 전투기 등 첨단무기 판매와 사우디가 오랫동안 원했던 원자력에너지 협력을 약속했다.
백악관이 이날 회담 후 공개한 팩트시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는 미-사우디 전략방위협정(Strategic Defense Agreement·SDA)을 체결했다.
SDA는 미국 방산기업이 사우디에서 운영하는 것을 더 쉽게 하며, 미국의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우디로부터 새로운 '부담 공유' 자금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백악관은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F-35 전투기를 포함한 무기 판매를 승인했으며 사우디가 거의 300대의 미국 탱크를 구매할 수 있게 하는 협정을 확보했다.
그간 미국에서는 사우디에 F-35 전투기를 판매하면 중동에서 이스라엘의 군사 우위가 약화되거나 중국으로 전투기 기술이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양국은 '민간 원자력에너지 협력 협상 완료에 대한 공동성명'도 발표했다.
이는 사우디와 수십년간 진행될 수십억달러 규모의 원자력에너지 협력을 위한 법적 기반을 구축하는 의미가 있으며 사우디가 원자력 협력 파트너로서 미국과 미국 기업을 우선한다는 입장을 확인한 것이라고 백악관은 설명했다.
사우디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도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려고 미국과 협상했으나 사우디가 핵무기 개발을 추진할 수 있다는 미국 내 우려 때문에 무산됐다.
백악관은 모든 원자력 협력은 강력한 비확산 기준을 준수하며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우디는 한국도 원전 수출을 위해 공을 들여온 나라라는 점에서 미국과 사우디의 이번 공동성명이 한국의 수주 전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미국과 사우디는 인공지능(AI) 양해각서도 체결했는데 이는 미국 기술을 외국의 영향력에서 보호하면서 세계 최고 수준의 미국 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사우디에 제공하는 것이라고 백악관은 설명했다.
핵심광물 협력을 위한 프레임워크 서명도 이날 이뤄졌다.
미국과의 협력 성사에 화답이라도 하듯 빈 살만 왕세자는 이날 사우디의 대미 투자액을 6천억 달러에서 1조 달러 규모로 상향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 5월 사우디 방문을 계기로 사우디가 미국에 6천억 달러 규모 투자를 하기로 합의가 이뤄졌는데, 당초 예정된 금액에서 4천억 달러를 추가 투자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빈 살만 왕세자는 2018년 10월 사우디 반정부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면서 사실상 외교적 고립 상태였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3월 이후 7년여 만에 미국을 찾은 빈 살만 왕세자를 '최상급' 국빈 방문에 준하는 수준으로 예우했다.
이날 오전 백악관 사우스론에서 열린 환영식에선 의장대가 도열하고 군악대가 연주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빈 살만 왕세자를 맞이했다. 두 사람은 미군 전투기가 백악관 상공에서 환영비행을 하는 모습을 함께 지켜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빈 살만 왕세자와 오찬을 함께 한 데 이어 120명을 초청한 공식 만찬도 주재했다.
암살 사건 이후 양국 관계가 다소 껄끄러웠던 상황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사우디의 실권자인 빈 살만 왕세자에 대해 파격 의전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양자 회담에서 빈 살만 왕세자에 대해 "매우 존경받는 분", "나의 오랜 친구"라고 치켜세우며 "인권 문제를 비롯해 여러 분야에서 그가 이룬 성과는 정말 놀라운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양국 관계에 대해 "우리는 오랫동안 정말로 좋은 친구였다"며 "모든 이슈에서 항상 같은 편에 서 있었고, 이란의 핵 능력을 없애는 데에도 우리가 훌륭한 일을 해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카슈끄지 암살 사건 배후에 빈 살만 왕세자가 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직접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사람(카슈끄지)은 매우 논란이 큰 인물이었다. 많은 사람이 그를 좋아하지 않았다"며 "그(빈 살만 왕세자)는 그 일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고 밝힌 뒤 질문한 기자에게 "손님을 당황하게 하는 질문을 하지 말라"고 말했다.
앞서 미 중앙정보국(CIA)이 빈 살만 왕세자를 카슈끄지 암살의 배후로 판단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빈 살만 왕세자가 이 사건과 무관하다며 '면죄부'를 주려 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건 이후 줄곧 사우디와 빈 살만 왕세자를 꾸준히 옹호해왔다.
한편 빈 살만 왕세자는 이스라엘과 아랍국가 간 국교를 정상화하기 위한 '아브라함 협정'에 사우디가 참여할지와 관련, "협정의 일원이 되기를 원한다"면서도 "동시에 '두 국가 해법'을 위한 명확한 길이 보장되도록 확실히 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을 허용해야 한다는 사우디의 종전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이 불가하다는 입장이어서 아브라함 협정 확대 가능성은 현재로선 작아 보인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자기 가족이 사우디에서 사업을 하는 것이 '이해충돌 아니냐'는 지적에 "나는 가족 사업과 아무 관련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가족들의 사업에 대해 "그들이 하는 일은 괜찮다. 그들은 세계 곳곳에서 사업을 한다. 사실 사우디에서는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미 언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두 아들이 이끄는 트럼프 오거니제이션은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 트럼프 브랜드로 부동산 건설을 계획 중이며, 트럼프 대통령의 맏사위 재러드 쿠슈너는 빈 살만 왕세자와 사업 파트너 관계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