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대책, 실수요자 많은 강북에 더 큰 충격
서울아파트 매수심리 9주만에 꺾여. 동북권은 팔자가 더 많아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전주보다 2.2포인트 내린 103.2로, 8월18일(99.1) 이후 처음 하락 전환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로,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팔려는 사람이, 200에 가까울수록 사려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다.
매수심리 위축은 강남권보다 실수요자가 많은 강북권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권역 매매수급지수는 101.6으로 전주보다 3.2포인트 급락했다. 반면에 강남권역은 104.7로 1.3포인트 낮아져 상대적으로 낙폭이 작았다.
강북권에서는 도심권(종로구·중구·용산구)이 115.0에서 109.3으로 5.7포인트 하락했고, 마포구가 포함된 서북권은 같은 기간 107.7에서 104.9로 2.8포인트 낮아졌다.
특히 성동·광진구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 포함된 동북권은 101.8에서 99.0으로 떨어져 수요 우위에서 공급 우위로 돌아서며 직격탄을 맞았다.
반면에 이미 규제를 받고 있고 현금부자가 많은 강남권은 상대적으로 타격이 적어, 10.15대책의 한계를 드러낸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낳고 있다.
이에 정부 일각에선 강남권 중심으로 아파트값 급등이 재연될 경우 보유세 인상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으나, 내년 6.3 선거를 의식한 더불어민주당이 강력 반대하고 있어 난항을 예고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