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서울 그린벨트 해제, 민주당 입장 아냐"
전현희 "서울환경 훼손 않는 범위에서 그린벨트 해제 논의"
더불어민주당은 29일 서울 주택 공급을 위해 그린벨트 해제를 검토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당론이 아니라며 진화에 나섰다.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후 기자들과 만나 “아직 주택시장안정화 TF가 킥오프(Kick-off)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어떤 정책이 민주당의 입장이라고 말하는 것은 사실도 아니고 원칙적으로 맞지 않다”고 밝혔다.
앞서 28일 <뉴스1>에 따르면, 전현희 최고위원은 이날 국토교통부 주최 서울 성수동 재건축조합 주민 간담회에서 "서울의 주택 공급 부족이 집값 상승의 주요 원인"이라며 "가능한 모든 부지를 찾아 주택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린벨트 해제를 논의하고 있으며, 지역 의원들과 함께 주택 건설이 가능한 부지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택시장안정화 TF 단장을 맡은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지난 27일 "현행법상 소규모(30만㎡ 미만) 그린벨트 해제 권한은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있지만, 이를 중앙정부로 이관하는 법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후 기자들과 만나 “아직 주택시장안정화 TF가 킥오프(Kick-off)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어떤 정책이 민주당의 입장이라고 말하는 것은 사실도 아니고 원칙적으로 맞지 않다”고 밝혔다.
앞서 28일 <뉴스1>에 따르면, 전현희 최고위원은 이날 국토교통부 주최 서울 성수동 재건축조합 주민 간담회에서 "서울의 주택 공급 부족이 집값 상승의 주요 원인"이라며 "가능한 모든 부지를 찾아 주택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린벨트 해제를 논의하고 있으며, 지역 의원들과 함께 주택 건설이 가능한 부지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택시장안정화 TF 단장을 맡은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지난 27일 "현행법상 소규모(30만㎡ 미만) 그린벨트 해제 권한은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있지만, 이를 중앙정부로 이관하는 법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