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목록
대북 제재조치에 나선 일본 정부가 북한 화물여객선 만경봉호의 입항금지(6개월) 및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관련시설에 대한 고정자산세 면세조치 취소 등에 이어 개정외환법에 따른 대북 ... / 김홍국 기자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 통과를 계기로 우리 정부가 미국이 요구해온 '5자회담' 참가를 공식 천명하는 등 대북 제재에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해, 대북정책의 기류가 전면 수정된 게 아니냐... / 박태견 기자
외교통상부는 16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안 채택과 관련,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지지입장을 밝히며 북한에 대해 미사일 추가 발사를 하지 말 것을 주문했다. 외교부는 "우리 정... / 임지욱 기자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993년 5월 11일의 결의안(825)과 2004년 4월 28일의 결의안(1540)을 재확인하고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전반의 평화와 안정 유지... / 김홍국 기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5일(현지시각. 한국시각 16일 새벽)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하고 유엔 회원국들에게 북한의 미사일 개발을 감시하는 한편, 북한제 미사일 및 미사일 관련 물품... / 김홍국 기자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오는 24일부터 일본, 중국, 한국을 잇따라 방문,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응한 '대북 제재 5자회담' 성사 여부가 주목된다.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14일... / 임재훈 기자
중국이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을 제출한 것은 대북 압박으로의 방향 전환이라는 주장들이 잇따라 제기됐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이에 대한 유엔안보리의 대응... / 김홍국 기자
미국과 일본이 추진, 당초 14일(현지시간) 오후로 예상됐던 북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결의안 채택을 위한 표결이 15일(현지시간)로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 당초 일본은 14일 ... / 김홍국 기자
북한에 대한 설득 작업을 벌여온 중국의 방북 대표단이 북한 지도부에 대한 설득에 실패했으며, 김정일 위원장과의 면담도 성사되지 않는 등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 후주석 ... / 김홍국 기자
지난 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후 조선학교 학생들에 가해지는 일본 극우들의 린치와 협박이 초등학교 1학년 어린이에게까지 린치를 가할 정도로 극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어린 조선 학... / 김홍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