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저축은행, 시중은행에 떠맡기기?
PF부실로 적자 전환, 부동산침체 악화로 무더기 도산위기
금융당국은 이에 IMF사태때 부실은행 처리때와 유사하게 시중은행들에게 저축은행들을 떠맡기는 방안을 물밑에서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국 105개 저축은행은 2009 회계연도에 4천726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해 전년의 469억원 순이익에서 대규모 적자로 전환했다.
이는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3조7천억원 규모의 부동산 PF 부실채권을 자산관리공사(캠코)에 매각하면서 대손충당금 부담이 7천798억원으로 전년보다 64.2% 급증하고 대출채권 매각손실 4천166억원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시중금리 하락에 따른 조달비용 감소로 이자이익은 전년보다 5천375억원(23.5%) 증가했지만 PF 채권 부실에 따른 손실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던 셈.
지난 6월 말 현재 105개 저축은행의 자산은 86조8천억원으로 1년 사이에 12조4천억원(16.6%) 증가했다. 대출금은 62조3천억원으로 5조9천억원(10.5%) 늘어났다.
금감원은 PF 부실채권을 캠코에 매각한 저축은행 61곳과 맺은 경영개선협약(MOU) 이행 상황을 철저히 점검하고 불이행시 감독관 파견, PF 부실채권의 매각 계약 해지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이와 함께 앞으로 부동산경기 침체가 더 침체되면서 PF대출이 부실화될 경우 저축은행들이 무더기로 파산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판단, 시장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중은행들에게 부실 저축은행들을 넘기는 방안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고위관계자는 이와 관련, 본지와 만나 "PF부실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은행들도 타격을 입기 시작했지만 이미 상당수 저축은행들은 벼랑끝에 몰린 상황"이라며 "이에 금융당국에서 일부 저축은행들을 은행들이 떠맡기를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저축은행들은 PF 채권 매각을 통해 일부 부실을 털어냈음에도 불구하고 6월 말 기준 연체율은 12.0%, 고정이하 여신비율도 9.1%로 이미 위험수위를 넘어선 상태다.
이 관계자는 부실저축은행 인수 방식과 관련해선 "IMF사태때 동화은행 등 부실은행과 지방은행 등을 떠맡을 때와 유사하게 부실자산은 떼어내고 우량자산만 인수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부동산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저축은행 인수는 불가피해 보인다"며 부실 저축은행 인수를 기정사실화했다.
부동산거품이 꺼지면서 IMF사태 때와 유사한 풍광들이 하나둘씩 목격되기 시작한 양상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