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탈당 문희상-정대철-최성 '대국민 사과'

"1백년 정당 약속 못지켜 국민께 송구"

15일 열린우리당을 탈당한 문희상 전 의장, 정대철 상임고문, 최성 의원들이 일제히 1백년 정당 약속을 못 지킨 데 대해 사과했다.

문희상 전 의장은 이날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대통합 대열에 백의종군의 마음으로 합류하며 열린우리당을 떠난다"면서 "어떤 비난이라도 감수할 것이고 훗날 책임질 일이 있다면 회피하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합이라는 마지막 임무를 위해 탈당을 결심했다"며 "이것이 전당대회에서 당원인 저에게 부여한 마지막 임무이기 때문이다"고 해명했다.

그는 "탈당을 결행하는 지금 허허벌판으로 나가는 떨리는 심정이다"며 "정신을 바짝 차리겠고 평화·개혁·미래 세력의 대통합이라는 시대정신을 살리기 위해 전당원이 부여한 마지막 임무를 다하기 위해 죽을 각오를 갖고 임할 것이다"고 재차 강조했다.

정대철 고문도 보도자료를 통해 "참여정부의 출범과 열린우리당 창당을 이끌어온 제가 참담한 심경으로 국민여러분께 이 같은 소식을 전해드리게 됨을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고문은 특히 3년전 '민주당 분당사태'를 언급하며 "수많은 민주당원과 분당에 대한 걱정으로 가슴앓이 하며 안타까워하던 국민들에게 크나큰 슬픔을 던져 주었기에 이 자리를 빌어 심심한 유감을 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열린우리당이 국민의 신뢰를 잃고 실패한 정당이 되어버린 데 대해 깊은 책임감을 통감한다"며 "국민의 신뢰를 잃고 사분오열된 동지들을 하나로 모으는 대통합의 길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최성 의원도 '대통합과 새희망 위해 새출발 하겠습니다'란 제목의 '탈당의 변'을 통해 "대통령을 변화시키고 국회와 정치권이 '민생속으로, 국민속으로' 더욱 다가서도록 공사석에서 강도 높게 요구하고 비판하는 등 몸부림쳐왔지만 냉정한 국민적 심판 앞에서 실패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며 "실패를 인정하고 좌절을 딛고 다시 일어서 국민 속으로, 민생 속으로 뛰어들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평화세력과 중도개혁세력의 대통합을 이루는데 모든 경험과 지혜를 발휘할 것"이라며 "회초리와 따가운 비판을 달게받고, 동시에 위험한 오만과 독선이 아닌 반성과 참회, 정의로운 가치를 위한 새출발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홍국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3 3
    하늘소

    모든 것을 다 떠나서,
    오로지 우리는 당신들의 良心을 믿습니다.
    一片丹心 憂國忠情으로 다시 한번 힘을 모읍시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