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삼양라면 "우지라면의 귀환". 검찰 기소로 30여년간 피눈물

"우지는 진심의 재료였다". 36년만에 우지라면 재출시

삼양식품이 36년 만에 우지로 만든 라면을 다시 출시하며 '왕좌 복귀'를 선언했다.

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 출시 발표회를 열어 우지로 만든 삼양라면을 출시했다. 이날은 우지 파동이 일어난 1989년 11월 3일로부터 정확히 36년이 되는 날이다.

'불닭라면'의 글로벌 빅히트로 삼양식품 시대를 다시 개막한 김정수 부회장은 이날 발표회에 참석해 "라면의 귀환"이라고 명명하며 36년 전 검찰에게 당한 '공업용 우지 파동'에 대한 통한의 심경을 드러냈다.

김 부회장은 "한동안 금기처럼 여겼던 우지는 삼양라면의 풍미를 완성한 진심의 재료였다"면서 "한 때 오해로 상상하지 못한 큰 어려움을 겪은 삼양식품이 이제 K푸드를 상징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진심으로 제 자리를 찾는 상징적인 순간"이라고 의의를 강조했다.

그는 "사필귀정"이라며 "창업주인 시아버님 전중윤 명예회장의 평생의 한을 조금은 풀어드리지 않았나"라면서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전중윤 회장은 숱한 시행착오 끝에 국내 최초로 라면을 개발한 공로로 박정희 당시 대통령으로부터 '대관령 목장 100년 조차'라는 파격적 지원을 받기도 했으나, 우지 파동으로 타계하는 날까지 통한의 시절을 보내야 했다.

그는 "삼양1963은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이라며 "한국의 미식 문화를 세계로 전파하는 글로벌 식품기업이 됐지만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또 한 번의 혁신을 시작하겠다"고 다짐했다.

삼양라면은 1989년 라면에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검찰의 기소로 이른바 '우지 파동'을 겪으며 판매가 폭감, 신라면에게 1위 자리를 내줘야 했다. 미국에서 식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우지를 싸잡아 '공업용'이라고 명명한 검찰의 황당 기소와 언론의 비난공세로 날벼락을 맞은 것.

당시 보건사회부는 우지가 라면 원조인 일본에서도 사용하고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다고 밝혔고 몇 년 뒤 대법원도 무죄 확정 판결을 했지만, 삼양식품은 그후 30여년간 쇠락의 늪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이 과정에 직원 1천여명이 감원되기도 했다. 삼양식품은 국가를 상대로 거액의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상대방이 무소불위의 권력이었던 검찰이었던 만큼 손배를 포기했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1 0
    통한의 눈물이 아니었던거 같은데

    전씨는 이후 민주화된 시절에도 이거에 대해
    전혀 통한의 눈물을 흘리지 않았던걸로 아는데

    전대갈넘 하고도 뭔가 관계있었던거 같기도 하고

    아무튼 이제와서 눈물의 통한쇼로
    제품 홍보할려는거 같은데

    내가 보기에는 전혀 그런거 아니거든

  • 4 0
    원인

    어느 변호사-- 금찰이 <야, 너거들, 삼숭서 용돈 좀 받았다며?

    그돈 좀 나눠 쓰자>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