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 김용태도 "朴대통령이 직접 나서 문제 풀라"
"당, 답답하고 무기력", "김병관 후보 스스로 물러나야"
친이 김용태 새누리당 의원은 27일 정부조직법 난항과 관련,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때가 되지 않았나 싶다"며 박근혜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이날 TBS라디오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정부출범이 늦어진 것에 대한 원인을 따지기에 앞서서 이 모든 피해는 고스란히 대통령과 새 정부가 지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부조직법 최대쟁점인 방통위 논란에 대해서도 "사실 당으로서는 할일이 아무것도 없다, 그것에 대해서. 답답하고 무기력함을 느끼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언론에서 보시는 게 객관적으로 맞다. 왜냐면 여야 간에 협상을 하려면 사실 이제 자율권도 있어야 되지 않겠나? 그런데 대통령의 의지가 워낙 확고하기 때문에 당으로써는 협상의 여지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여튼 그 점, 답답하다"며 무력감을 토로했다.
그는 "대통령이 본인이 옳다고 하는 것을 예전 방식으로 관철해 낸다는 것은 이제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며 "따라서 대통령께서는 새로운 정치 환경에 맞춰서 고도의 정치력을 발휘하는 것이 대통령 직무 중에 가장 중요하다고 분명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거듭 박 대통령에게 정치적 발휘를 주문했다.
그는 민주당의 김병관 국방장관 청문회 보이콧에 대해서도 "본인들의 정치적인 판단도 있겠지만 국민적 여론을 등에 업은 것 같다"며 "저도 김병관 후보자께서 다른 것은 차치하고 나서라도 국방부 장관 하시려고 하는 분이 무기 중개상에 재직을 했다고 하는 것은 저도 선뜻 수긍하기 어렵고 국민들도 납득할 수 있을까 라고 하는 의문이 든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 국회 내에서 처리하기에는 매우 힘든 상황인 것 같다. 아마 후보자의 결심이랄지, 아니면 최고 통치권자인 대통령의 결심이 필요한 상황이 아닌가 싶다"며 김 후보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그는 박 대통령이 문제 후보들의 임명을 강행할 것이란 일각의 관측에 대해서도 " 법적으로야 가능하죠. 그러나 그것은 향후 의회정치를 그야말로 이런 심한 표현 써서 뭐하지만, 파탄에 이르게 하는 초석을 놓는 일이라 생각해서 저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의원은 이날 TBS라디오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정부출범이 늦어진 것에 대한 원인을 따지기에 앞서서 이 모든 피해는 고스란히 대통령과 새 정부가 지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부조직법 최대쟁점인 방통위 논란에 대해서도 "사실 당으로서는 할일이 아무것도 없다, 그것에 대해서. 답답하고 무기력함을 느끼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언론에서 보시는 게 객관적으로 맞다. 왜냐면 여야 간에 협상을 하려면 사실 이제 자율권도 있어야 되지 않겠나? 그런데 대통령의 의지가 워낙 확고하기 때문에 당으로써는 협상의 여지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여튼 그 점, 답답하다"며 무력감을 토로했다.
그는 "대통령이 본인이 옳다고 하는 것을 예전 방식으로 관철해 낸다는 것은 이제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며 "따라서 대통령께서는 새로운 정치 환경에 맞춰서 고도의 정치력을 발휘하는 것이 대통령 직무 중에 가장 중요하다고 분명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거듭 박 대통령에게 정치적 발휘를 주문했다.
그는 민주당의 김병관 국방장관 청문회 보이콧에 대해서도 "본인들의 정치적인 판단도 있겠지만 국민적 여론을 등에 업은 것 같다"며 "저도 김병관 후보자께서 다른 것은 차치하고 나서라도 국방부 장관 하시려고 하는 분이 무기 중개상에 재직을 했다고 하는 것은 저도 선뜻 수긍하기 어렵고 국민들도 납득할 수 있을까 라고 하는 의문이 든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 국회 내에서 처리하기에는 매우 힘든 상황인 것 같다. 아마 후보자의 결심이랄지, 아니면 최고 통치권자인 대통령의 결심이 필요한 상황이 아닌가 싶다"며 김 후보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그는 박 대통령이 문제 후보들의 임명을 강행할 것이란 일각의 관측에 대해서도 " 법적으로야 가능하죠. 그러나 그것은 향후 의회정치를 그야말로 이런 심한 표현 써서 뭐하지만, 파탄에 이르게 하는 초석을 놓는 일이라 생각해서 저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