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盧 '파병 연장 확정'에 한나라 "골머리"

"盧의 꼼수 아니냐" 의구심도, '권고적 찬성' 당론 가능성

노무현 대통령이 23일 오후 이라크 파병 연장 방침을 밝히는 대국민 담화를 가질 것으로 알려져, 파병 연장 찬반을 둘러싼 보혁 대결이 연말 대선의 한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파병 연장 여부를 놓고 고심해온 노 대통령은 국방부 등의 요구대로 파병기간을 1년 더 연장하기로 최종 결심을 굳힌 뒤 23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국민의 이해를 구할 방침이다. 노 대통령은 파병 연장 이유로 미국과의 한미동맹 강화 필요성, 한국기업의 이라크 진출 등 종전의 논리를 내세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노 대통령의 파병 연장 방침에도 불구하고 1백41석의 의석을 가진 대통합민주신당이 전날 파병 연장 거부를 당론으로 정하고, 민주노동당 등도 확고한 반대입장을 밝힌 만큼 파병안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무엇보다 곤혹스러운 쪽은 한나라당. 한나라당은 기본적으로 한미동맹을 최우선시한다는 입장인만큼 심정적으로 노대통령의 파병연장에 동의하는 분위기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등 보수신문들도 잇따라 파병연장에 찬성하는 사설 등을 통해 한나라당을 압박하고 있다.

문제는 여론. 최근 이와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는 나오지 않고 있으나 종전에 실시한 여론조사는 80% 전후의 국민들이 파병 연장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섣불리 파병 연장에 찬성했다가는 '역풍'을 맞을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에 한나라당이 사로잡힐만한 수치다. 특히 2002년 대선때 효순이-미선이 사건에 잘못 대응했다가 역풍을 맞은 뼈아픈 경험이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한나라당 일각에서는 "노 대통령이 한나라당을 겨냥해 파병 연장안을 밀어부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의 소리도 흘러나오고 있다.

한나라당이 그동안 파병연장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그럼에도 노대통령 담화가 나오면 더이상 입장 표명을 하지 않을 수 없는 만큼 지금 한나라당은 어떻게 대응할지를 놓고 부심중이다.

한나라당은 지난해 파병연장때 '권고적 찬성' 당론을 확정한 바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파병연장을 둘러싼 보혁구도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재차 한나라당 지도부가 동일한 당론을 택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이같은 당론을 택할 경우 파병연장안의 국회통과 가능성은 더욱 낮아진다. 한나라당내에도 소수이긴 하나 파병연장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이렇게 권고적 찬성 당론을 택한 결과 파병연장안이 부결되더라도 그 책임을 노무현 대통령에게 돌릴 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손해볼 것은 없다는 판단을 함직하다. 하지만 이 과정에 당 안팎의 극우적 성향의 인사들의 강한 반발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과연 파병 연장이란 뜨거운 감자를 떠안게 된 한나라당이 어떤 결정을 할지 예의주시할 일이다.
이영섭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