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7일 공정거래위원회가 4대강공사 담합을 한 건설사들에게 고발조치 없이 1천115억원의 과징금만 부과키로 한 데 대해 "그럴 줄 알았다"는 냉소적 반응을 보였다.
이준구 교수는 이날 블로그에 올린 글을 통해 우선 "입찰담합에 가담한 건설사에 대한 처벌이 너무 가볍다는 비난이 봇물처럼 터져 나오고 있군요. 심지어 보수언론까지도 그런 말을 하고 있는 재미있는 광경을 봅니다"라며 "정당한 법 절차를 무시하고 4대강사업을 밀어붙일 때는 아무 말도 하지 않다가 뒤늦게 담합 사실이 밝혀지자 난리를 떠는 모습이 우습기까지 하네요"라고 보수언론을 꼬집었다.
이 교수는 이어 화살을 공정위로 돌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미 오래 전에 이 의혹이 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간을 질질 끌다가 2년 8개월이 지난 후에야 담합이 있었다는 사실을 발표했습니다. 왜 이렇게 시간을 끌었을까요?"라며 "뭐 단군 이래 최대로 복잡한 사건이라도 되었기에 조사가 그리 힘들었나요?"라고 비꼬았다.
그는 "사실 그 속셈은 뻔한 것이었습니다. 혹시라도 4대강사업 그 자체에 대한 불리한 여론이 조성되지나 않을까라는 걱정 때문이었을 것이 분명합니다"라며 "이젠 공사가 어느 정도 마무리 되었으니 터뜨려도 될 만하다고 생각해서 터뜨린 것이겠지요. 담합이 없었다고 판정 내리고 싶었겠지만, 워낙 증거가 분명한지라 차마 그렇게 하지 못했을 거구요"라고 힐난했다.
그는 또 "그러니 다음 수순은 솜방방이 처벌로 적당히 넘어가 주는 것입니다. 공비사 부풀린 규모가 1조원이 넘는데도 관례를 벗어나 그 10% 수준인 1천 여억원만의 과징금 부과로 끝냈습니다"라며 "그리고 당연히 검찰에 고발해 처벌을 받게 만들어야 할 사안인데도 고발을 하지 않는 너그러움을 보였습니다"라고 질타했다.
그는 이어 "왜 그랬냐구요? 정부가 애당초 4대강사업에서 목적한 바가 건설사들에게 돈을 뿌리는 데 있었다는 걸 생각해 보면 당연한 일이 아닌가요?"라며 "애당초 건설사들이 담합을 하는지 눈을 부라리고 감시할 생각 그 자체가 없었다고 보아야 합니다. 어차피 건설사들에게 돈을 뿌려줄 목적으로 그 사업을 시작했는데 담합이 있건 없건 무슨 상관이 있겠습니까?"고 비아냥댔다.
그는 국회에 대해선 "19대 국회에서 4대강 청문회를 열어 이런 의혹을 철저히 파헤쳐야 한다는 말이 나오는가 봅니다. 물론 나는 4대강 청문회가 당연히 열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라며 "그런데 청문회에서 가장 시급하게 밝혀야 할 사안은 이것이 아니라고 봅니다. 다른 모든 문제에 앞서 어떻게 4대강사업이 시작되기 불과 몇 달 전에 국가재정법이 개정되었느냐를 밝혀내는 일부터 시작해야 합니다"라고 주문했다.
그는 "만약 4대강사업이 적절한 법적 절차를 거치도록 했다면 첫 삽을 뜨기도 전에 폐기되었을지도 모릅니다. 즉 국가재정법에 따르면 5백억원 이상이 소요되는 공공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야 하는데, 4대강사업도 이 검증과정을 거치게 했다면 아무런 타당성이 없음이 밝혀질 수 있었다는 말입니다"라며 "그 문제와 관련해 정부 부처들 사이에서 교환된 문서를 조사하고 관련자들을 조사해 보면 그 진실이 모두 밝혀지리라고 믿습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이렇게 국가재정법 개정의 진실을 밝혀냄으로써 4대강사업은 첫 단추부터 잘못 끼어진 사업임을 만천하에 공개해야 합니다. 그리고 다시는 정부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해 법규정을 마음대로 뜯어고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합니다"라며 "그 다음 단계로 공정한 입장에 서 있는 전문가들로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해 4대강사업이 일으키고 있는 모든 부작용들을 있는 그대로 샅샅이 밝혀내는 일이 남아 있습니다"라며 국회의 철저한 진상조사를 촉구했다.
이제 시작이다.. 쥐의 형벌이 얼마나 참혹한 지 스스로 알게 될 것이다. 지 돈처럼 예산을 강 바닥에 뿌린 죄 불법예산 소모한 죄 혹시 있을 수 있는 횡령죄 그리고 국가예산을 마음대로 불법한 법 조항으로 집행한 죄 횡령죄 대한민국을엉망으로 만든 쥐들의 회식죄 필히 검증해서 피 눈물난국민처럼 만들어야죠 꼭 수사해야죠!
지금 반성,사죄하지 않습니다. 자기 정치 욕망을 위해 22조원 혈실을 퍼부었고, 밀어붙였습니다. 결과는 사람이 죽었고, 강이 죽었고, 역사가 죽었고, 문화가 죽었습니다.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청문회와 국정조사, 나아가 검찰까지 나서서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그래야 다시는 MB같은 불도저가 나라와 환경 그리고 자연을 죽이지 않을 것입니다.
북한보다 더 무서운놈들이 내부의 암적 존재들이지요. 암적 존재들이 암약하기 위해서 국민들 시선을 북한문제로 돌리려 하지요. 박정희 전두환 독재시대엔 남한인권에 침묵하던 놈들이 마치 인권전도사인양 북한 인권을 들먹이지요. 국고 퍼먹기에 열중인 수구꼴통들이 북한 돕기에는 발벗고 막아서지요.
이건 대운하공사라는 이름으로 씨부릴 때부터 나온 얘긴데... 반대 심하자 사대강공사라는 이름만 바꿔 공사 시작한거 잖아요. 수십년 걸려도 못끌낼 공사를 지 임기 맞춰 끝내려니 날림에 땜빵에... 아마도 수년 후엔 강물살에 못견긴 보가 여기저기서 펑펑 터질 것 같습니다. 그러면 또 건설사들 보수한답시고 나랏돈 긁어 가겠죠.
사상검증보다 훨씬 중요한 일이 4대강 점검이다. 올 장마에 괜찮을까 모를 일이기 때문이다. 머, 1조를 작당을 해서 해 쳐먹었는데 벌금이 1000억이 뭐냐? 이런 형국이니, 공산들 제대로 했겠냐 이말이다. 관급공사에 '복마전'이라.. 젠장.. 이런 게 부끄러운 것이다. 부끄러운 뜻도 모르는 ...
18대 국회 평가보고서① 반민생·개혁 법안 처리현황 http://www.vop.co.kr/A00000479659.html 18대 국회가 처리한 법안들 중 17개 반민생·반개혁 법안을 선정·발표. 보고서에는 한미FTA, 4대강 사업, 언론, 조세, 재벌·금융 등 8개 분야 관련 법안 17개의 표결결과와 주요 내용이 담겨.
[인포그래픽] '이명박근혜' 악법은 '합작품'이었다 http://www.vop.co.kr/A00000481791.html 새누리당의 '혁신'작업이 한창이다. 당명을 뜯어 고쳤고 MB심판론을 의식한 듯 '친이학살'을 통해 친박의원이 대거 전면에 등장하면서 '공천혁명'의 모양새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19대 국회에서 과연 4대강사업청문회가 열려질까요? 지금같은 상황에서는 불가능하다고 보여지네요. 새누리당은 야권을 종북으로 몰아가고있고 야권은 연대가 안되어서 속수무책 으로 당하는 상황이니 말입니다. 여대야소의 국회에서는 야권이 의도하는 어떤 청문회도 열리기 어려울겁니다. 12월 대선에서 야권단일후보가 대통령으로 선출되면 가능할겁니다.
한미FTA, 4대강 사업 강행, 부자감세 등 이명박 정부가 추진했던 대부분의 정책에서 '친이'와 '친박'의 구분은 무의미했기 때문이다. 다음 그래픽은 이명박 대통령이 추진했던 주요 정책 부수법안에서 친이와 친박 대표의원들이 보였던 투표 행태를 정리한 것이다. http://www.vop.co.kr/A00000481791.html
4대강 찬동인사만 모아 보 안전 검증? 국토부의 국민우롱, 해도해도 너무한다.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59300 찬동했던 인사; 윤세의 경기대 교수 윤병만 명지대 교수 김철 호남대 교수 정상만 공주대 교수 신현석 부산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