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한국일보 기자들, 편집국 돌아왔으나 이번엔 '제작 봉쇄'

비대위 "조판 프로그램과 사진 송고시스템 막아"

한국일보 사측이 법원 결정에 따라 9일 오후 편집국을 개방했으나 돌아온 기자들의 신문 제작을 사실상 막아 기자들이 반발하는 등 파문이 일고 있다.

한국일보 사측은 이날 오후 3시 편집국 문을 열어 25일만에 기자들이 편집국에 들어갈 수 있었다. 하지만 기자들이 들어갔을 때, 신문 제작은 불가능한 상태였다.

비대위는 긴급 성명을 통해 "취재기자들의 기사집배신 접속 권한은 부여됐지만, 편집부 기자들이 신문 지면을 만드는 조판 프로그램 사용은 불가능하게 막혀 있었고, 사진부 기자들이 사진을 송고하는 시스템도 접속 불가능했다"며 "즉 기자들이 기사를 쓰더라도 이를 밖에서 재택근무하고 있는 짝퉁 신문 제작 10명이 가져가서 데스킹을 보고 이를 토대로 <서울경제>에 차려져 있는 짝퉁 편집실에서 지면을 제작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비대위는 "결국 가처분신청에서 법원이 주문한 내용을 완전히 이행하지 않은 것"이라며, 법원이 가처분신청에서 '신청인들의 근로제공을 거부하여서는 아니되고, 신청인들이 한국일보 편집국에 출입하는 것을 방해하여서는 아니되며, 신청인들이 한국일보 신문기사 작성.송고 전산시스템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여서는 아니된다고 결정한 사실을 상기시키며 사측이 첫번째 항목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비대위는 또한 "그뿐 아니다. 논설실장을 논설고문으로 발령(논설고문은 퇴직 후 칼럼 정도만 쓰는 직책)하겠다며 위협했고, 법원이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은 하종오 편집국장 대리 체제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사측을 비판했다.

비대위는 결론적으로 "중요한 것은 '현재 저희 상황은 신문을 정상적으로 제작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사실"이라며 사측을 맹질타했다.

서화숙 논설위원도 트위터를 통해 "한국일보 편집국 정상화되지 않았습니다. 기사 쓰는 건 열렸으나 데스크 권한은 봉쇄. 편집권 독립을 위해 싸워온 기자들을 짝퉁신문의 좀비기자로 부리겠다는 것이지요"라며 "편집권 독립까지 힘든 싸움 계속해야할듯"이라고 탄식했다.
김혜영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