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조사] 박근혜 44.4%, 안철수 48.1%
문재인 42.9%, 안철수 38.4%
KBS 조사에서는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 지지율이 상승한 반면, 안철수 후보 지지율은 하락세로 나타났다.
7일 KBS <뉴스9>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5~6일 집 전화나 휴대전화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자구도에서 박근혜 37.2%, 안철수 26.1%, 문재인 19.6%였고 군소후보 지지율의 합은 0.5%(강지원 0.3%, 박찬종 0.2%, 이정희 0%)였다.
박근혜-안철수 양자대결에서는 박근혜 44.4%, 안철수 48.1%로 오차범위 내에서 안 후보가 앞섰다. 그러나 격차는 추석 전인 지난달 23일 조사때의 8.7포인트에서 3.7%포인트차로 줄었다. 박 후보가 3.2%포인트 오른 반면, 안 후보는 1.8%포인트 낮아진 결과다.
박근혜-문재인 양자대결에서는 박근혜 47.9%, 문재인 44.9%로 박 후보가 앞섰다. 추석 전 조사때는 문재인 45.9%, 박근혜 45.0%였던 것이 바뀌었다.
박근혜-안철수-문재인 3자 대결에서는 박근혜 40.5%, 문재인 21.9%, 안철수 28.7%로, 추석전과 비교할 때 박근혜·문재인 지지도는 상승한 반면 안철수 지지도는 하락했다.
야권단일후보 선호도에서는 문재인 42.9%, 안철수 38.4%로 문 후보는 3.3%p 상승, 안 후보는 6.2%p 하락하면서 문 후보가 역전에 성공했다.
야권 후보 단일화는 '될 것이다' 43.6%, '안 될 것이다' 40.6%였다.
안철수 후보에 대한 의혹들에 대해서는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 58.5%, '정치공세로 자제돼야 한다'는 응답이 34.2%였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서 '야권 후보가 당선됐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48.7%로,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됐으며 좋겠다'는 응답 37.4%보다 많아 정권교체 바람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무응답은 13.9%였다.
정당 지지도는 새누리당 40.6, 민주통합당 37.5%였다.
한편 대선까지 남은 기간 동안 지지 후보를 바꿀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선 42.7%가 후보 검증이나 후보 단일화 등 상황 변화에 따라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고 답했다.
지지 후보별 변경 의향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22.0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48.4, 무소속 안철수 후보는 49.3%로 야권 성향 유권자중 유동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야권 성향 유동층은 여권 지지로 바뀌기보다는 야권 내부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3.1퍼센트다.
7일 KBS <뉴스9>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5~6일 집 전화나 휴대전화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자구도에서 박근혜 37.2%, 안철수 26.1%, 문재인 19.6%였고 군소후보 지지율의 합은 0.5%(강지원 0.3%, 박찬종 0.2%, 이정희 0%)였다.
박근혜-안철수 양자대결에서는 박근혜 44.4%, 안철수 48.1%로 오차범위 내에서 안 후보가 앞섰다. 그러나 격차는 추석 전인 지난달 23일 조사때의 8.7포인트에서 3.7%포인트차로 줄었다. 박 후보가 3.2%포인트 오른 반면, 안 후보는 1.8%포인트 낮아진 결과다.
박근혜-문재인 양자대결에서는 박근혜 47.9%, 문재인 44.9%로 박 후보가 앞섰다. 추석 전 조사때는 문재인 45.9%, 박근혜 45.0%였던 것이 바뀌었다.
박근혜-안철수-문재인 3자 대결에서는 박근혜 40.5%, 문재인 21.9%, 안철수 28.7%로, 추석전과 비교할 때 박근혜·문재인 지지도는 상승한 반면 안철수 지지도는 하락했다.
야권단일후보 선호도에서는 문재인 42.9%, 안철수 38.4%로 문 후보는 3.3%p 상승, 안 후보는 6.2%p 하락하면서 문 후보가 역전에 성공했다.
야권 후보 단일화는 '될 것이다' 43.6%, '안 될 것이다' 40.6%였다.
안철수 후보에 대한 의혹들에 대해서는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 58.5%, '정치공세로 자제돼야 한다'는 응답이 34.2%였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서 '야권 후보가 당선됐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48.7%로,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됐으며 좋겠다'는 응답 37.4%보다 많아 정권교체 바람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무응답은 13.9%였다.
정당 지지도는 새누리당 40.6, 민주통합당 37.5%였다.
한편 대선까지 남은 기간 동안 지지 후보를 바꿀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선 42.7%가 후보 검증이나 후보 단일화 등 상황 변화에 따라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고 답했다.
지지 후보별 변경 의향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22.0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48.4, 무소속 안철수 후보는 49.3%로 야권 성향 유권자중 유동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야권 성향 유동층은 여권 지지로 바뀌기보다는 야권 내부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3.1퍼센트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