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부시, 라이스 권유로 김정일에 친서 보내

라이스, 부시에게 김정일과 직접 대화 권유

조지 W. 부시 미대통령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낸 것으로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 권유에 따른 것으로 밝혀졌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부시 대통령이 김정일 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낸 것은 라이스 국무장관의 권유에 의한 것이라며, 라이스 장관은 부시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과의 직접 대화를 권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그러나 라이스 장관의 적극적 대북접촉 노력이 매파들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북한에 특사를 정기적으로 파견하고 내년 초 뉴욕 필하모닉의 평양 공연을 추진하는 등 집권 이후 줄곧 고수한 기존의 외교정책을 뒤엎는 노선 변화는 부시 대통령을 공화당의 보수파들로부터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며 "공화당 의원들은 부시의 정책 선회가 세계에 대한 미국의 지위를 손상시킬 것으로 믿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대표적인 매파로 통하는 존 볼턴 전 UN 대사가 '현재 정책은 미국의 존엄성과 영향력을 감퇴할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며 "그러나 부시 정부는 북한 외에 이란과 시리아, 레바논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미국의 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적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익명을 요구한 국무부의 관계자는 AP통신과 7일 인터뷰에서 "부시 대통령이 김정일 위원장에게 친서까지 보내고 당부한 것은 북한에는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라는 의미가 담긴 것"이라며 "만일 올 연말까지로 시한이 돼 있는 핵관련 신고 기회를 북한이 놓친다면 앞으로는 다시 기회를 갖기 힘들어질 것"이라고 북측에 경고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의회에는 하원의 일리나 로스 레티넨 외교위원장(공화, 플로리다주)이 위원회에 제출해 놓은 '북한 테러 방지 및 핵비확산 법안이 계류 중이며, 현재 6자회담 등 대화 진행 상황에 법안 심사가 멈춰져 있지만 만일 북한의 핵 의혹이 해소되지 않는 조짐을 보일 경우 언제든 처리될 수 있다"고 거듭 경고했다.

이 법안은 북한이 테러 지원과 핵 의혹을 이어갈 경우 수출관리법 등을 비롯해 무기수촐통제법, 대외지원법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을 근거로 북한에 대한 모든 지원을 중단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홍국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