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인회' 김영진 "추미애가 벌인 전쟁, 결과 좋았던 적 있나"
"조희대-한덕수 5부 요인이라 경호인력 붙어 차량운행 일지 등 다 있는데..."
원조친명 '7인회' 멤버인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5일 추미애 법사위원장의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 강행에 대해 "약간 급발진하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좀 들었다"고 비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중시하는 민주당 교육연수원장직을 맡을 정도로 이 대통령 신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진 김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이같이 말했다.
이어 "왜냐하면 대법원장 청문회라고 하는 건 대단히 무거운 주제이고 대단히 중요한 사안인데, 조금 더 당내 전체 지도부와 상의하면서 진행하고 또 사전에 준비 절차를 잘 거쳐서 그 필요성에 대한 상호의 인식과 동의하에 진행했으면 좋았겠다, 너무 급하게 하지 않았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원내대변인이나 당 대변인이 발표한 바대로 법사위 결정 이후에 통보받았다고 하니까 사전에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에 관한 논의나 결정 없이 추미애 법사위원장과 김용민 간사가 진행한 사안이다, 이렇게 보고 있다"며 "이런 정도의 사안이면 충분히 원내와 당 지도부와 사전에 논의하고 진행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 대부분의 의원들의 생각이었다"며 추 위원장의 독주를 비판했다.
그는 나아가 추 위원장 등이 청문회 소집 명분으로 '4인 회동' 의혹 규명을 내건 데 대해서도 "본질적인 문제에 관한 사안들을 얘기하는 게 정확한 조희대 대법원장에 대한 대응 방향이지, 조희대, 한덕수, 정상명, 김충식의 4인 회동이 있었다고 하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가지고 청문회를 여는 것 자체는 적절하지 않다"고 직격했다.
진행자가 이에 '회동설 자체가 오발탄이라고 보는 거냐'고 묻자, 그는 "대법원장과 국무총리는 경호 인력이 다 붙고 있기 때문에 그 두 사람의 일정은 비공개이지만 공개인 일정밖에 없다. 5부 요인이기 때문에 대법원장과 국무총리가 이동할 시에는, 특히 국무총리가 이동할 시에는 경호 인력이 다 붙어서 행선과 일지가 다 있다"고 답했다.
그러자 진행자는 '차량 운행 일지 있다면서요"라고 물었고, 그는 "다 있다"며 "그러니까 제가 보기에는 그 문제에 관해서 서영교 의원이나 부승찬 의원이나 추미애 법사위원장이 조금 더 소명을 해주는 게 필요하다, 이렇게 보고 있다"며 사실상 사실무근으로 판명난 회동설을 제기한 의원들을 질책했다.
그는 추 위원장과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연일 충돌하는 데 대해서도 "사실 이게 추미애 법사위원장님과의 3차 대전이라고 본다"며 "1차 대전은 추미애-윤석열, 2차 대전은 추미애-한동훈, 지금 3차 대전인 추미애-나경원의 전쟁인데, 전쟁의 결과가 적절하거나 좋았던 게 기억나지 않는다"고 힐난했다.
그는 추 위원장이 나 의원의 법사위 야당간사 선출을 막은 데 대해서도 "저도 간사도 해보고 여러 가지 해봤지만 양당의 간사 선임 문제를 가지고 이렇게 전쟁을 치를 필요는 없다는 게 제 개인적인 생각"이라며 "특별하게 인정해 주지 않을 이유가 없는데 여러 가지 이유를 대면서 본질 외적인 문제로 법사위 운영이 파행되거나 서로 안 좋은 모습으로 집권여당, 더불어민주당의 모습이 마치 법사위가 모든 정치를 대변하는 것처럼 국회가 비춰지는 것은 저는 적절하지 않다. 절제되고 조정돼야 된다"고 비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중시하는 민주당 교육연수원장직을 맡을 정도로 이 대통령 신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진 김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이같이 말했다.
이어 "왜냐하면 대법원장 청문회라고 하는 건 대단히 무거운 주제이고 대단히 중요한 사안인데, 조금 더 당내 전체 지도부와 상의하면서 진행하고 또 사전에 준비 절차를 잘 거쳐서 그 필요성에 대한 상호의 인식과 동의하에 진행했으면 좋았겠다, 너무 급하게 하지 않았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원내대변인이나 당 대변인이 발표한 바대로 법사위 결정 이후에 통보받았다고 하니까 사전에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에 관한 논의나 결정 없이 추미애 법사위원장과 김용민 간사가 진행한 사안이다, 이렇게 보고 있다"며 "이런 정도의 사안이면 충분히 원내와 당 지도부와 사전에 논의하고 진행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 대부분의 의원들의 생각이었다"며 추 위원장의 독주를 비판했다.
그는 나아가 추 위원장 등이 청문회 소집 명분으로 '4인 회동' 의혹 규명을 내건 데 대해서도 "본질적인 문제에 관한 사안들을 얘기하는 게 정확한 조희대 대법원장에 대한 대응 방향이지, 조희대, 한덕수, 정상명, 김충식의 4인 회동이 있었다고 하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가지고 청문회를 여는 것 자체는 적절하지 않다"고 직격했다.
진행자가 이에 '회동설 자체가 오발탄이라고 보는 거냐'고 묻자, 그는 "대법원장과 국무총리는 경호 인력이 다 붙고 있기 때문에 그 두 사람의 일정은 비공개이지만 공개인 일정밖에 없다. 5부 요인이기 때문에 대법원장과 국무총리가 이동할 시에는, 특히 국무총리가 이동할 시에는 경호 인력이 다 붙어서 행선과 일지가 다 있다"고 답했다.
그러자 진행자는 '차량 운행 일지 있다면서요"라고 물었고, 그는 "다 있다"며 "그러니까 제가 보기에는 그 문제에 관해서 서영교 의원이나 부승찬 의원이나 추미애 법사위원장이 조금 더 소명을 해주는 게 필요하다, 이렇게 보고 있다"며 사실상 사실무근으로 판명난 회동설을 제기한 의원들을 질책했다.
그는 추 위원장과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연일 충돌하는 데 대해서도 "사실 이게 추미애 법사위원장님과의 3차 대전이라고 본다"며 "1차 대전은 추미애-윤석열, 2차 대전은 추미애-한동훈, 지금 3차 대전인 추미애-나경원의 전쟁인데, 전쟁의 결과가 적절하거나 좋았던 게 기억나지 않는다"고 힐난했다.
그는 추 위원장이 나 의원의 법사위 야당간사 선출을 막은 데 대해서도 "저도 간사도 해보고 여러 가지 해봤지만 양당의 간사 선임 문제를 가지고 이렇게 전쟁을 치를 필요는 없다는 게 제 개인적인 생각"이라며 "특별하게 인정해 주지 않을 이유가 없는데 여러 가지 이유를 대면서 본질 외적인 문제로 법사위 운영이 파행되거나 서로 안 좋은 모습으로 집권여당, 더불어민주당의 모습이 마치 법사위가 모든 정치를 대변하는 것처럼 국회가 비춰지는 것은 저는 적절하지 않다. 절제되고 조정돼야 된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