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정상회담 의제는 안보-국방비-관세협상"
"주한미군 유연화 동의 못해", "합의된 것 뒤집을 순 없어"
이 대통령은 일본 하네다 공항을 떠나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전용기에서 기내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하며 "대신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 등의 논의는 우리로서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단어의 의미가 조금씩 다른데, 이런 부분을 조정하는 것도 협상인데 생각하는 것처럼 (분위기가) 험악하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가 정상회담에서 다뤄질 가능성에 대해선 "원자력은 중요 과제이긴 한데, 지금 이 자리에서 말씀드리기는 부적절하니 이해해 주기 바란다"고 말을 아꼈다.
이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 의제에 대해선 "정상회담 자리에서 갑자기 새로 나오는 의제는 많지 않고, 주요 의제는 사전에 실무선에서 구체적으로 협의한다"며 "짐작하는 대로 안보 문제나 국방비 문제, 관세협상 문제 등이 얘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주한미군 유연화 등 안보문제 외에 미국이 요구하는 국방비 대폭 증액 문제도 정상회담 의제가 될 것임을 시사한 셈이다.

이 대통령은 추가 관세협상에 대해선 "최종적으로는 현실적이고도 합리적인 결론에 이르게 될 것"이라며 "다만 그 과정이 매우 힘들다. 그렇더라도 힘든 줄 알면 미리 대비할 수 있으니 최선을 다해보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금은 과할 만큼 국가 중심, 자국 중심 시점이어서 우리 역시도 대한민국 국익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해야 하는데, 과거보다 몇 배 더 노력 필요한 거 같다"며 "분명한 것은 대한민국도 주권국가이며, 주권자인 국민이 기대하는 바를 충족시키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실망하게 해 드리지는 말아야 겠다는 책임감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쌀, 소고기 개방 요구에 대해선 "협상 결과에 대해 한국에 유리하게 된 것 아니냐는 미국 측의 시각이 분명히 있다. 미국 부처 단위에서는 (합의 내용을) 조금 바꾸자는 요구도 생겨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우리의 기본적인 입장은 그런 문제도 포함해 당시에 논의가 됐던 것이고, 이미 큰 틀의 합의를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발표한 상황에서 저희로서도 쉽게 '바꾸자니까 바꾸겠습니다'라고 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이어 "(어느 나라든) 자국의 이익을 위해 새로운 요구를 하기 마련이다. 우리 역시 끊임없이 대한민국에 유리한 새로운 의제를 제기하거나 바꾸려고 노력한다"면서도 "그렇다고 해서 일단 합의가 된 것을 쉽게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우리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관세협상 타결직후 “한국은 미국과의 교역에 완전히 개방하기로 하고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겠다고 합의했다”고 밝혔지만,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쌀, 소고기 등은 추가 개방 대상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