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노란봉투법 반대하며 '한국 철수' 경고
트럼프 관세에 뺨 맞은 한국GM, 노란봉투법에 분풀이?
2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GM은 지난 21일 고용노동부가 노란봉투법에 대한 기업계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자동차·조선·철강분야 최고경영자(CE0)들을 초청한 자리에 이같은 입장을 전했다.
노동부에서는 권창준 차관과 노사협력정책관, 노사관계법제과장 등이, 기업계에서는 이희근 포스코 대표, 서강현 현대제철 대표, 노진율 HD현대중공업 대표, 한화오션 정인섭 사장, 기아 최준영 대표, 헥터 비자레알 한국GM 대표가 간담회에 참석했다.
참석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한국GM을 이끄는 비자레알 대표는 이 자리에서 '한국은 이미 노사 리스크가 큰 국가'임을 강조하며 "본사로부터 사업장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 "강력하게 재고를 요청한다" 등의 말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구체적으로 철수라는 단어를 언급하진 않았지만, 아시아 핵심 생산기지였던 한국GM의 역할은 더는 수행할 수 없다는 뉘앙스였다는 것이 참석자들의 전언이다.
한국GM의 모기업인 미국 GM은 2013년 호주에 이어 2015년 인도네시아와 태국, 2017년 유럽과 인도에서 현지 공장 매각 등의 방식으로 철수한 바 있다.
GM은 한국 철수도 검토했으나 지난 2018년 한국 정부 및 정치권과 공적자금 8천100억원(7억5천만달러) 투입을 합의해 향후 10년간 한국 사업장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GM은 2019년 한국GM 군산공장 문을 닫으며 사업을 축소했고, 현재 사업 유지 시한은 내년까지 2년이 남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4월 미국 트럼프 정부가 한국GM 생산물량에 대해서도 자동차 관세를 부과해 천체 수출의 90%를 차지하는 대미수출에 타격을 입으면서 한국GM 철수설은 또다시 고개를 들었다. 또 한국GM이 지난 5월 운영 효율화를 명목으로 직영 서비스 센터와 일부 생산시설을 매각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철수설은 더욱 힘을 얻었다.
여기에다 모기업인 GM이 한국 현대차그룹과의 차종 5종을 공동개발하는 등 협력을 가속화하고, 한국GM 노조가 임금 및 단체협상 난항으로 부분파업을 이어가면서 철수설은 사그러들지 않은 상황이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지난 20일 기자간담회에서 국내외 경제단체들이 노란봉투법 강행시 기업들이 해외로 이전할 것이라고 경고한 데 대해 "그런 일은 일어날 것 같지 않다"고 일축한 바 있다.
그러나 간담회 다음날 한국GM이 노골적으로 철수를 경고하고 나서면서 파장은 확산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