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대출규제 완화-금리인하에 가계대출 '폭증'

'가계부채 시한폭탄' 우려 커져, 최경환노믹스 한계 드러내

LTV·DTI 규제 등 부동산대출 규제 완화 및 기준금리 인하의 후폭풍으로 8월 가계대출이 14개월만에 최대 급증, '가계부채 시한폭탄' 우려를 더욱 키웠다.

13일 한국은행의 '8월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의 가계대출 잔액은 총 717조2천억원으로 한달전보다 6조3천억원이나 늘었다.

이는 부동산 취득세 감면 종료를 앞두고 가계대출이 급증했던 작년 6월의 6조5천억원이후 14개월만에 최대 규모이자, 8월중 증가액으로는 역대 최대다. 또한 1년 전보다는 46조4천억원(6.9%)이나 늘어난 수치다.

가계대출은 이로써 지난 2월 말(688조1천억원) 이후 7개월 연속 사상 최고 행진을 이어갔다.

늘어난 가계대출은 대부분 주택담보 대출이었다.

8월말 현재 예금취급기관의 주택담보대출 잔액(441조원)은 한 달 전보다 5조1천억원 늘었다. 이 가운데 은행이 5조원 늘고 비은행은 1천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에 마이너스 통장이나 예·적금 담보대출 등 기타대출(276조2천억원)은 비은행을 중심으로 1조1천억원 늘었다.

지역별로도 LTV·DTI 규제 완화 혜택이 집중된 수도권의 가계대출 증가액이 3조8천억원으로 비수도권(2조6천억원)보다 컸다. 수도권의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증가액이 비수도권을 앞서기는 6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처럼 가계부채가 급증하면서 가계부채 부실화 우려가 커지는 데다가 설상가상으로 실물경제 악화 및 주가 하락까지 겹치면서, 지난 석달간 늘어나던 주택 매매가 추석 이후에 뚜렷히 약화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다시 아파트값이 하락하는 등 최경환노믹스가 석달만에 한계에 봉착한 양상이다.

설상가상으로 금리 인하의 여파로 전세값이 집값보다 몇배 빠른 폭등세를 보이면서 '렌트푸어(무주택 세입자)'의 고통도 급속히 커지고 있어, 최경환 경제팀을 더욱 당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박태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6 개 있습니다.

  • 6 0
    막가파 정권

    카지노 허가 남발하더니만
    이제는 대출남발하고 도박정권 망하면 누구부터 죽여 줄까?

  • 8 0
    경제학자후배

    그야말로
    러시안룰렛이구나.
    브레이크 없는
    폭주기관차가
    낭떠러지를 향해 달리는
    격이다.
    문제는
    애꿎게 전국민이
    피해를 본다는 거.
    폭주기관차를
    막을 수가 없으니
    참으로
    답답하구나.
    제발
    누군가
    브레이크를 강제로라도 걸어야 한다.

  • 15 0
    신바람

    가계부채 폭탄 터질날만 짹깍 짹깍 다가오는구나......

  • 7 4
    개골

    먹고 뉴욕으로 튀어. 퍼준 핵맞기 전에

  • 9 1
    ㅋㅋㅋ

    그런다고 고리원전이 안터지나?
    반경 30km 이내 부산, 포항, 울산은 법적 강제 퇴거 지역임.
    그쪽 부동산 투자했다간, 후쿠시마 주민처럼 개털됨

  • 18 0
    꼬부기

    그럼 성공할줄 알았나??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