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민 "'사초 게이트'는 MB까지 가세한 필연"
김한길 "회의록 없다면 또다른 차원의 심각한 문제"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가기록원에서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찾지 못해 국민을 당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이에 대해서 여러 억측이 양산되고 있다. 국민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 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기록물을 찾지 못하는 이 상황을 안도하며 반색하는 분위기도 있다고 한다"며 "그 이유와 의도에 대해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며 새누리당을 정조준했다.
그는 "지난 5년동안 임기가 보장됐던 참여정부 출신의 대통령 기록관장과 담당 과장을 2008년 7월부터 보직정지, 해임시키고 MB정부의 청와대 행정관 출신으로 교체한 과정과 이유가 석연치 않다"며 "2012년 정문헌 의원의 발언과 한 일간지의 자료폐기 의혹 보도, 대선 당시 새누리당의 원세훈 국정원장에 대한 정상회담 회의록 공개 압력의 연관성 여부도 주목할 지점"이라고 거듭 여권에 의혹의 눈길을 보냈다.
신경민 최고위원도 "작금의 사초(史草) 게이트는 우연이 아니라 이명박 대통령까지 가세한 필연"이라며 "이명박 대통령은 올해 2월 퇴임전 <조선일보>와의 회견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봤다고 했고, 심지어 취임 후 대화록을 보고는 국격이 떨어질까봐 안밝혀졌으면 좋겠다는 이야기까지 주변에 했다고 했다"고 상기시켰다.
그는 "정문헌, 김무성, 서상기 의원에 이어 이명박 전 대통령까지 대화록을 열람한 것으로 드러났는데, 도대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어떤 의도를 갖고 대통령 기록물을 열람했는지 점입가경"이라며 "이 사람들 모두 다 줄줄이 수사대상으로 올라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