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국정원장들 "정치사찰 없었다"
노무현 재단, 고영구.김만복 녹취록 공개
노무현 재단은 4일 "청와대가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로부터 사찰 내용을 수시로 보고받은 정황도 속속 드러나고 있는데도 사과는커녕 ‘참여정부가 더 했다’는 식의 허위사실을 언론에 계속 흘리고 있다"고 비판하며 전임 두 국정원장의 과거 녹취록 발언을 소개했다.
참여정부 초대 국정원장이었던 고영구 전 원장은 지난 2007년 12월 19일 <참여정부 5년의 기록> 다큐멘터리에 출연해 "임명장을 받고 나서 잠깐의 티타임이 있었다. 그때 대통령께서는 아주 가벼운 말씀을 몇 가지 해주셨고, 지금 기억에 남는 것은 '원장은 내가 위법한 지시를 내렸을 때 그것을 따르겠느냐, 따르지 않겠느냐' 이런 말씀이 계셨다"며 "제 기억에는 지금 인수위 시절부터 대통령께서 국정원장의 독대를 받지 않겠다, 또 사찰성 정보 같은 것을 수집하는 것을 엄격히 금하겠다는 등등의 국정원 개혁에 관한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구체적으로 어떤 지시를 하신 일은 제가 재임하는 동안엔 거의 없었다"며 "그만큼 국정원의 독자성을 보장해 주시면서, 그리고 대통령이 국정원 업무에 대해서 일일이 지시 내지 간섭을 하면서 일어날 수 있는 정보의 왜곡이라든지 정보기관의 정치적 이용성 이런 것을 철저히 경계하셨다, 이렇게 보면 맞을 것 같다"고 증언했다.
김만복 전 국정원장 역시 지난해 10월 12일 노무현재단 사료편찬특별위원회와의 구술 인터뷰에서 "참여정부 자체가 국정원으로 하여금 정치정보를 하지 못하게 했다"며 "정보관리실로 정치정보가 올라오지도 않았고, 따라서 정치정보를 취급한다는 것으로 인해서 이슈가 되거나 문제가 되거나 거론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노무현 재단은 이밖에 "무엇보다 노무현 전 대통령 자신이 당선 이후 지속적으로 국가정보원·검찰·경찰·국세청, 이른바 ‘권력기관’을 더 이상 정치권력의 도구로 이용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며 '참여정부 하에서 정치사찰과 표적수사, 도청은 없을 것'을 강조한 노 전 대통령의 과거 연설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