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용, 올 들어 최초로 감소
구직 포기자 늘어 실업률은 소폭 하락
인구조사를 위해 채용됐던 임시직 근로자들이 해고되면서 지난달 미국의 고용이 올 들어 처음으로 감소, 더블딥 우려를 한층 심화시켰다. 하지만 실업률은 구직활동 인구 증가로 9.5%로 소폭 하락했다.
미국 노동부는 2일(현지시간) 6월 비농업부문 고용이 12만5천명 줄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 10월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지난달 일자리 감소는 인구조사(센서스)를 위해 채용됐던 22만5천명의 임시직 고용계약이 만료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기업 등 민간부문에서는 8만3천명의 일자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민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남겨뒀다. 하지만 최근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경제블럭에서 잇따라 더블딥 우려가 제기되면서 민간부문의 경기 회복세가 지복될지는 좀 더 지켜볼 일이다.
고용이 감소세를 보였지만 구직을 포기하는 실업자가 늘어남에 따라 실업률은 9.5%로, 5월의 9.7%보다 소폭 하락하면서 작년 7월 이후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6월엔 65만2천명의 실직자가 구직활동을 포기해 경제활동인구에서 제외된 것으로 추산됐다.
미국 노동부는 2일(현지시간) 6월 비농업부문 고용이 12만5천명 줄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 10월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지난달 일자리 감소는 인구조사(센서스)를 위해 채용됐던 22만5천명의 임시직 고용계약이 만료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기업 등 민간부문에서는 8만3천명의 일자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민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남겨뒀다. 하지만 최근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경제블럭에서 잇따라 더블딥 우려가 제기되면서 민간부문의 경기 회복세가 지복될지는 좀 더 지켜볼 일이다.
고용이 감소세를 보였지만 구직을 포기하는 실업자가 늘어남에 따라 실업률은 9.5%로, 5월의 9.7%보다 소폭 하락하면서 작년 7월 이후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6월엔 65만2천명의 실직자가 구직활동을 포기해 경제활동인구에서 제외된 것으로 추산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