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한미협상, 목표시한 두고 협상 안해"
"미중 단순한 균형 유지보다 국익 기반 대응"
이재명 대통령은 24일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 "인위적인 목표 시한을 두고 협상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게재된 싱가포르 <더 스트레이츠 타임스>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한국 금융시장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으며, 상호 이익을 극대화할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해선 "구체적인 사항을 공개하기는 어렵다"며 "한미 정상회담을 포함,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일정 조율을 위해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3천500억달러 대미투자에 대해선 "최근 양국 간 경제 협력이 첨단 기술 분야로 확대되면서, 양국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었다"면서도 "다만 한미 간 산업 협력이 우리 국내 산업 공동화를 초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가 강대국 간 대립의 최전선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한미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가고, 중국과도 우호적 관계를 유지·발전시키면서, 동북아 역내 긴장을 완화하고 공동 번영을 촉진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중 관계에 대해서도 "중국과 치열하게 경쟁하면서도 새로운 협력의 공간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단순히 미중 두 강대국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한다기보다, 우리 국익에 기반하여 경쟁, 협력, 도전 요인에 대한 다면적 인식하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게재된 싱가포르 <더 스트레이츠 타임스>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한국 금융시장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으며, 상호 이익을 극대화할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해선 "구체적인 사항을 공개하기는 어렵다"며 "한미 정상회담을 포함,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일정 조율을 위해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3천500억달러 대미투자에 대해선 "최근 양국 간 경제 협력이 첨단 기술 분야로 확대되면서, 양국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었다"면서도 "다만 한미 간 산업 협력이 우리 국내 산업 공동화를 초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가 강대국 간 대립의 최전선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한미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가고, 중국과도 우호적 관계를 유지·발전시키면서, 동북아 역내 긴장을 완화하고 공동 번영을 촉진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중 관계에 대해서도 "중국과 치열하게 경쟁하면서도 새로운 협력의 공간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단순히 미중 두 강대국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한다기보다, 우리 국익에 기반하여 경쟁, 협력, 도전 요인에 대한 다면적 인식하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