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검증단 "이진숙 논문 표절, 김건희와 비교도 안될 정도"
"이진숙 과오 묵인하면 대학에서 이중잣대 들이대야"
검증단은 이날 오후 '이 후보자 논문 표절 의혹 검증을 위한 대국민 보고회'에서 "2022년 9월 김건희 여사의 논문 검증 경험을 바탕으로 검증단을 재가동했고, 이 후보자의 논문 전수 검증을 신속히 추진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등 11개 교수단체 모임인 검증단은 과거 김건희 여사 논문 검증을 주도해 숙대의 김 여사 석사학위 박탈을 이끌어낸 바 있다.
검증단에 따르면, 표절 의혹이 불거진 논문 '공동주택 야간경관조명 사례 조사를 통한 조명디자인 감성평가'는 A씨 석사논문과의 표절률이 52%, '건축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문양의 조형요소에 대한 영향 평가'는 B씨 박사논문과의 표절률이 56%,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는 C씨 박사논문과의 표절률이 36%로 각각 나타났다.
검증단은 "특히 논문 표절 및 저자 표기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교육부 장관이 논문 표절 논란에 휘말린다는 것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 우리나라 학계와 연구 윤리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후보자가 제자 학위논문의 학술지 게재 시 제1저자로 본인을 표기한 사례 역시 심각한 문제"라며 "이는 제자가 연구자로서 자격이 없는 엉터리 학위 소지자임을 말하는 것"이라고 힐난했다.
또한 "이 후보자는 제자 학위논문의 학술지 게재 시 본인이 제1자로 표기된 데 대해 '실질적 저자는 본인'이라고 항변한 것으로 보도됐다"며 "제1저자가 아니라 교신저자로 표기되는 게 마땅한 데도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면 스스로 교육자이길 포기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과오를 묵인한다면 대학 현장에서는 보고서와 학위논문 심사에 이중잣대를 들이대야 한다"면서 "과거 논문 표절 논란이 있었던 교육부 장관 후보자 모두 자진해서 사퇴했던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며 자진사퇴를 압박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서도 "이 대통령 또한 단호히 결단하기를 강력하게 촉구한다"며 임명 철회를 압박했다. 대통령실은 오는 16일 이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와 국민여론을 지켜보고 입장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