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KBS 대선후보 토론회에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대해 강도높은 검증 공세를 전개한 심상정 정의당 후보에 대해 문 후보측과 지지자들이 강력 반발하는 등 파장이 일고 있다.
문재인 선대위 송영길 총괄본부장은 20일 페이스북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 후보에 대한 야당 국회의원들의 청문회를 본 것 같네요. 원래 미국식 스탠딩 자유토론은 후보가 2명일 때 빛을 발하는 것인데 5명에게 자유토론을 시키니 모두 1등후보에 공격"이라며 "심상정 후보마저 편승하는 것을 보니 정의당의 정의가 아닌 듯합니다"며 심 후보를 비판했다.
송 본부장은 이어 "입만 열면 거짓말 하는 홍준표, 국장 유승민, 숟가락 심상정, 오락가락 안철수, 촛불민심 문재인, 대한민국의 힘을 모아주세요!"라며 심 후보를 '숟가락'으로 명명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그 아까운 시간을 홍,유의 전술핵재배치 주적논란을 반격하지 않고 국보법 문제로 문을 공격하는 심, 대북송금문제로 몰린 안후보를 남북통일을 위한 고도의 통치행위로 방어하는 문"이라며 "정의당은 온몸에 화살을 맞으며 버티는 문에 칼질하는 정치공학적 접근시정 필요!!"라며 거듭 심 후보를 맹비난했다.
정청래 전 민주당 의원도 송 본부장 글을 링크시킨 뒤, "문재인 청문회를 보는 것 같았습니다"라며 "문재인을 공격하느라 문재인에게 집중된 청문회같은 토론회. 문재인의 노출을 위해 애쓴 청문위원들께 오히려 감사"라며 심 후보를 힐난했다.
이밖에 SNS상에서는 심 후보를 비난하는 문재인 지지자들의 글이 봇물 터지면서, 정의당이 실시간 검색어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명박그네 10년의 시간이 지난 다음에 참여정부 씹는 심상정을 보고 정신 줄 나간 여편네처럼 보였다. 천지분간 못 하는 망둥이 같더라. 마치 '나는 당선이 안 되지만 떨어뜨릴 수 있다'는 매번 총선 때의 벼랑끝 전술이 생각나서 씁쓸했다. 아! 정의당 심상정의 마인드가 저런 것이구나 하고 확인을 했다.
정의당이 존재하는 것은 선거 때마다 야권 흔들어서 심상정, 노회찬 의원직 유지시켜주는 것 외에 무엇을 했는가? 선거에 개인은 민주당, 비례대표는항상 진보를 찍었다. 서울시장 선거 때 노회찬, 경기지사 선거에 심상정 꼬라지 보고 정말 마음이 상했지만 노동을 기반으로 하는 진보가 꼭 있어야 한다고 믿었다. 새삼 이정희 진정성이 그립더라.
이재명 지지했지만 이리저리되니... 기권할까도 생각했지만... 그래도 정책 이미지가 유사한 심상정이라도 찍어 약소정당에 힘을 주자 뭐 그리 생각하고 있었는데... 어제의 그 매너.. 국보법, 주적 얘기 나올 때는 반격하지 않으면서, "국장 앞에서 야단맞는 부하들 같다"고 홍준표가 까불자 옆에서 히히덕거리는 낯짝을 보고는 오만정이 다 떨어져 나갔다
갸가 10년간 준비헌 늠이라코
질문;
부카니스탄이 주적이냐?
정답;
군사적으론 주적 맞다, 그러나 역사 문화적으론 민족이다.
단 대통령이란 정치적문제 해결사로써, 이런 질문엔 지금 똑부러진 답엔 후에 또 똑부러진 거짓을 낳는다.
그래서 답변은 이걸로 대신한다..
이게 아니냐?
문또리들아!
무조건빨면, 국민이 아프다!
작작 하거라.
ㅎ
ㅎ
ㅎ
그런데 대선 토론 후 JTBC 뉴스룸에 심상점 후보가 나올 예정이였다. 한시간 동안 손석희 앵커와 대담을 하고 난 후 쉬는 시간이 주어졌는데 심상정 후보가 어디 갓나보다. 좀 있다가 온다고 한 심상정 후보가 나타나지 않았다. 손석희앵커 계속 기다리고 있다. 한시간 동안 계속 기다리는 방송 내보내고 있었다. 대선토론 본 후유증인가? ㅡㅡㅋ
어제 2차 토론은 분명 1대4였죠. 토론하는것은 좋은데 어제 TV를 보면 종편에서 마치 4명의 페널이 나와서 대통령 후보를 검증하듯 보이더군요. 이것이 무슨 토론 인지 묻고 싶습니다. 후보들의 정책 이나 비젼을 가지고 토론해야하는데 말도안되는 종북몰이로 시간을 다 허비해버리는 초등학생보다 못한 난상토론이었죠. 나같으면 자리를 박차고 나왔을건데...
어제 토론 본다고 미리 일 열심히 했는데 완전 실망. 왜 서서 하는지 이유를 모르는 방송국. 심판이 나서라니까 되려 반칙선수 편을 든 사회자. 게비스가 다급하긴 다급한가 보다. 온갖 수구적폐 세력이 다 나서서 최후 발악하는 걸 보니, 이 반동을 이기고 대통령이 된 사람은 적폐를 일거에 청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게 그나마 성과.
문재인을 제외한 4명은 문재인을 공격해야 자신이 존재감을 나타낸다고 생각한것 같네요. 그래서, 심상정후보는 한건도 질문을 받지않았고, 유승민 후보도 몇건 없죠. 이건 토론이 아니죠. 토론은 질문과 대답이 서로 같아야 하는데 어떤 후보는 질문만 쏟아내고 어떤 후보는 대답하는데만 시간 다보내고. 이건 최순실 청문회때 본거랑 똑같은데요.
대선 주자간의 토론은 최소 지지율 10% 이상 그룹과 이하 그룹으로 나눠서 토론하는 게 형평성이 맞을 거로 보임, 중간에 지지율 10%로 이상되면 합류하고 지지율 높은 후보자에겐 너무 불리함 정책 발표와 비전을 설명하고 싶어도 지지율 낮은 후보의 꼼수 공격에 방어하다가 시간을 다 소비함 단, 대선 주자가 둘일땐 빼고
최악의 유치원 공약에 이어 안철수 후보의 학제개편 공약은 2013년~16년생들이 초중고대학을 다니는 동안 입시경쟁율이 최고 2배로 높아지는 등 지옥경쟁을 예고하는 최악의 교육정책 공약입니다. 자신의 딸은 외국에서 공부시키고 더 지옥같은 입시, 취업경쟁을 특정세대에게 실험하자는 안철수 교육공약은 헬교육 공약입니다. 공약폐기하고 무릎굻고 사과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