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김관진 국방 "미국 MD에 가입 안한다. SM-3 등도 구입 안해"
자신의 국감 발언후 MD가입 파문 일자 서둘러 진화
김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미국 MD 체제에 편입하려면 합당한 논리와 이유가 있어야 하는데 필요성이나 적합성, 수조 원에 달하는 천문학적 금액 등 모두 맞지 않다"면서 이같이 미국 MD 편입 가능성을 일축했다.
김 장관은 "천문학적인 금액이 들어가는 데 국민이 공감하겠느냐"면서 "우리는 독자적으로 미사일 방어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과 상호운용성이 필요하다고 한 것은 북한 미사일에 대한 탐지, 식별 및 궤적에 대한 정보를 미측 자산으로부터 받는다는 의미"라며 "우리가 없는 장비를 미측이 제공하기 때문에 아주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미국 MD는 근본적으로 미국 본토 방어를 위한 것"이라며 "우리의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는 대한민국을 방어하는 것으로, 북한 미사일에 대한 요격시스템이다. 미국 MD와 목표, 범위, 성능이 다르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또 "SM-3(고고도 대공미사일), 사드(THAAD·중고도 요격체계)를 구입하기로 결정하지도 않았고 고려하지도 않고 있다"면서 "우리는 PAC-2(패트리엇 미사일) 요격체계를 PAC-3급으로 개량하고 L-SAM(장거리)·M-SAM(중거리) 지대공미사일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SAM과 M-SAM은 각각 2020년과 2022년께 개발될 계획이라고 김 장관은 전했다.
김 장관이 예정에 없던 기자간담회를 통해 미국 MD와 관련한 우리 정부와 군의 입장을 밝힌 것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전시작전통제 전환시기 재연기와 미국 MD간의 '빅딜설'을 반박하는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김 장관은 "이번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 그런 논의가 일절 없었다"면서 "척 헤이글 미국 국방장관도 한국의 미사일방어시스템과 미국 MD는 다르다(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