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우외환에 직면한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후보가 오는 11일 기자회견에서 박근혜 전대표에게 집권후 국정을 공동운영하고 차차기를 보장하는 제안을 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사실상의 '이명박-박근혜 공동정권' 구상인 셈.
10일 이 후보 측근들에 따르면, 9일부터 공무일정을 중단하고 장고에 들어간 이 후보는 이기택, 박희태, 최시중 등 당 안팎의 정치원로들 및 핵심측근들과 현재의 위기타개책을 다각도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 결과 도달한 결론은 박근혜 전대표의 전폭적 지원을 얻지 않으면 연말 대선 승리를 확신할 수 없다는 것.
문제는 해법. 이재오 의원의 최고위원직 사퇴로 문제가 풀리길 기대했으나 이 의원이 물러나면서 "박근혜는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으라"고 압박하면서 사퇴는 더욱 악화됐고, 그 결과 내년 총선 공천권 분할 갖고서도 사태를 풀 수 없게 됐다는 게 중론이다. 박근혜측 일각에서 "이재오가 대선이 끝나면 내년 4월 총선 공천심사위원장을 맡기로 이 후보로터 약속을 받았다"는 음모론까지 제기할 정도로, 양측 불신은 극에 달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 후보가 박 전대표에게 5년후 차차기대권을 보장하는 방안도 검토됐으나, 이 또한 '정치적 선언'의 의미만 있을뿐 '정치적 구속력'이 없다는 점에서 박근혜측 반응은 싸늘하다. 어차피 이 후보가 대통령이 되려라도 5년 임기로 끝나는 마당에 어떻게 박 전대표에게 차차기를 약속할 수 있겠냐는 차가운 반응인 셈.
이에 이 후보측에 흘러나오기 시작한 게 '박 전대표와의 국정 동반자' 선언, 즉 사실상의 '공동정권' 구상이다. 이 후보가 "집권 과정뿐 아니라 집권 이후에도 박 전 대표와 모든 것을 함께 하겠다"고 대외적으로 밝히며 박 전대표의 협조를 요청한다는 것.
'공동정권' 구상은 단순한 립서비스 차원을 넘어서 공천권을 물론, 입각권까지도 공유한다는 의미로, 과거 1997년 대선때 김대중-김종필간 DJP 연합때 선을 보인 연합방식이다. 또한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단일화때도 잠정적 합의를 했으나 대선 막판 노무현 후보가 공동정권에 부정적 입장을 밝히고 정후보가 이에 즉각 지지 철회로 맞대응하면서 대선 막판에 일대 파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만약 이처럼 이 후보가 박 전대표에게 'DJP식 공동정권' 카드를 꺼내들었음에도 박 전대표가 이를 수용하지 않는다면, 이때부터 이 후보측은 대대적 반격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박 전대표측이 내심 이 후보의 '낙마' 및 '후보교체'를 기대하면서 딴지를 걸고 있는 게 아니냐는 공세가 가능해지는 것.
과연 막판 장고중인 이 후보가 어떤 선택을 할지는 아직 모른다. 그러나 '큰 승부수'가 던져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지금 이후보 진영의 긴장감 어린 분위기다.
9일 오전 공식일정을 취소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서울 견지동 안국포럼으로 출근 후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