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신당 "이라크 파병연장 반대키로 확정"
공은 한나라당으로, 한나라당 찬성시 대선쟁점화할 듯
정부의 이라크 파병 연장을 놓고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이던 대통합민주신당 지도부가 22일 국회의 파병연장 동의안 처리 과정에서 반대하기로 최종 입장을 확정했다.
최재성 신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이날 오전 당사에 오충일 대표 주재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이라크 주둔 자이툰부대의 파병 연장동의안에 대해 국민여론과 미국내 여론, 대한민국의 국익 등을 감안해 반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최 대변인은 "당 지도부는 또 파병 연장 문제가 국력을 소진하고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들을 봉쇄해나가면서 당의 총의를 모아서 파병연장 동의안에 반대하는 과정들을 성실하고 합리적으로 추진해나가기로 결의했다"고 덧붙였다.
신당 지도부는 이날 오후 열릴 긴급 의원총회에서 파병연장 동의안 반대를 당론으로 확정할 방침이며, 국정감사 일정 때문에 의결 정족수에 미달할 경우 조속한 시일내 당론을 공식 확정할 방침이라고 최 대변인은 전했다.
임종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이와 관련 "지난 12일부터 이 문제와 관련해서 파병연장 반대 당론을 채택하기 위해 소속의원들의 서명을 받고 있는데 절반을 넘기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내일 대통령이 담화를 발표할 예정인 만큼 그 전에 당의 입장을 정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며, 일사불란하게 당론 형식을 통해 작년 국회에서 정해진 대로 연내 철군이 이뤄지도록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무현 대통령을 의식해 한때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이던 신당이 이처럼 이라크 파병 연장에 반대키로 최종입장을 정리함에 따라 공을 이 문제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는 한나라당으로 넘어간 모양새여서, 한나라당의 대응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이라크 파병 연장에 대해선 신당은 물론 민주노동당과 문국현 독자후보도 반대입장을 밝히고 있으며, 이인제 민주당후보만 국익 차원에서 찬성 입장을 밝히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현재 1천2백여명 수준인 자이툰부대의 규모를 절반 수준으로 줄이되 철군시기를 내년 말까지로 1년 늦추는 내용의 임무종결계획서를 오는 23일 국무회의에 상정해 통과시킨 뒤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통해 설명한 뒤 국회에 동의안을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재성 신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이날 오전 당사에 오충일 대표 주재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이라크 주둔 자이툰부대의 파병 연장동의안에 대해 국민여론과 미국내 여론, 대한민국의 국익 등을 감안해 반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최 대변인은 "당 지도부는 또 파병 연장 문제가 국력을 소진하고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들을 봉쇄해나가면서 당의 총의를 모아서 파병연장 동의안에 반대하는 과정들을 성실하고 합리적으로 추진해나가기로 결의했다"고 덧붙였다.
신당 지도부는 이날 오후 열릴 긴급 의원총회에서 파병연장 동의안 반대를 당론으로 확정할 방침이며, 국정감사 일정 때문에 의결 정족수에 미달할 경우 조속한 시일내 당론을 공식 확정할 방침이라고 최 대변인은 전했다.
임종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이와 관련 "지난 12일부터 이 문제와 관련해서 파병연장 반대 당론을 채택하기 위해 소속의원들의 서명을 받고 있는데 절반을 넘기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내일 대통령이 담화를 발표할 예정인 만큼 그 전에 당의 입장을 정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며, 일사불란하게 당론 형식을 통해 작년 국회에서 정해진 대로 연내 철군이 이뤄지도록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무현 대통령을 의식해 한때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이던 신당이 이처럼 이라크 파병 연장에 반대키로 최종입장을 정리함에 따라 공을 이 문제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는 한나라당으로 넘어간 모양새여서, 한나라당의 대응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이라크 파병 연장에 대해선 신당은 물론 민주노동당과 문국현 독자후보도 반대입장을 밝히고 있으며, 이인제 민주당후보만 국익 차원에서 찬성 입장을 밝히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현재 1천2백여명 수준인 자이툰부대의 규모를 절반 수준으로 줄이되 철군시기를 내년 말까지로 1년 늦추는 내용의 임무종결계획서를 오는 23일 국무회의에 상정해 통과시킨 뒤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통해 설명한 뒤 국회에 동의안을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