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IB들 "올해 대만 5.3% 성장 vs 한국 1%"
한미관세협상 난항으로 원/달러 환율 급등해 격차 확대 우려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이 올해 대만의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5.3%로 높여잡은 반면, 한국은 1%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1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주요 해외 IB 8곳이 제시한 대만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평균 5.3%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 말의 4.5%보다 0.8%포인트 높여잡은 것이자, 대만 통계청(DGBAS)이 최근 제시한 4.45%보다도 크게 높은 수치다.
노무라(6.2%)와 JP모건(6.1%)는 6%대 성장까지 전망했다.
IB들이 이처럼 전망을 바꾼 것은 대만이 글로벌 AI 투자 붐 속에 파운드리 업체인 TSMC를 중심으로 반도체 수출을 크게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대만은 지난 8월 월간 수출액에서 처음 한국을 앞섰고,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8%대를 기록하는 등 절대 호황을 구가중이다.
IB들은 내년 대만의 성장률 전망치도 지난 8월 말 2.1%에서 9월 말 2.3%로 0.2%p 높였다.
반면에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종전과 같은 1.0%를 유지했다.
지난달 JP모건이 0.8%에서 0.9%로, HSBC가 0.7%에서 0.9%로 각각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지만, IB 8곳의 평균 전망치에는 변동이 없었다.
정부와 대만 통계청 등에 따르면, 대만의 올해 1인당 GDP는 3만8천66달러로, 한국(3만7천430달러)을 22년 만에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에다가 한미 관세협상 난항으로 원/달러 환율이 최근 1,400원대로 폭등해 양국간 격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원/달러 환율은 야간거래에서 1,430원대까지 급등한 상태다.
1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주요 해외 IB 8곳이 제시한 대만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평균 5.3%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 말의 4.5%보다 0.8%포인트 높여잡은 것이자, 대만 통계청(DGBAS)이 최근 제시한 4.45%보다도 크게 높은 수치다.
노무라(6.2%)와 JP모건(6.1%)는 6%대 성장까지 전망했다.
IB들이 이처럼 전망을 바꾼 것은 대만이 글로벌 AI 투자 붐 속에 파운드리 업체인 TSMC를 중심으로 반도체 수출을 크게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대만은 지난 8월 월간 수출액에서 처음 한국을 앞섰고,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8%대를 기록하는 등 절대 호황을 구가중이다.
IB들은 내년 대만의 성장률 전망치도 지난 8월 말 2.1%에서 9월 말 2.3%로 0.2%p 높였다.
반면에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종전과 같은 1.0%를 유지했다.
지난달 JP모건이 0.8%에서 0.9%로, HSBC가 0.7%에서 0.9%로 각각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지만, IB 8곳의 평균 전망치에는 변동이 없었다.
정부와 대만 통계청 등에 따르면, 대만의 올해 1인당 GDP는 3만8천66달러로, 한국(3만7천430달러)을 22년 만에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에다가 한미 관세협상 난항으로 원/달러 환율이 최근 1,400원대로 폭등해 양국간 격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원/달러 환율은 야간거래에서 1,430원대까지 급등한 상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