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 부장관, 한국 무더기 체포에 "깊은 유감"
"재입국시 불이익 없고, 합당한 비자 발급될 수 있게 후속 논의"
크리스토퍼 랜 미 국무부 부장관은 14일 한국인 대규모 체포-구금 사태가 일어나게 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이번 사태를 제도 개선 및 한미관계 강화를 위한 전기로 활용해 나가자고 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방한중인 램 부장관은 이날 서울 청사에서 박윤주 외교1차관과 가진 회담에서 유감 표명을 했다. 이번 사태 발발후 미 고위당국자가 유감 표명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이 문제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만큼 귀국자들이 미국에 재입국시 어떠한 불이익도 없을 것이며, 향후 어떠한 유사 사태도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활동이 미 경제·제조업 부흥에 대한 기여가 크다는 점을 절감하고 있는 만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한국 근로자들의 기여에 합당한 비자가 발급될 수 있도록 후속조치 관련 실무협의를 속도감 있게 진행하자고 했다.
이에 대해 박 차관은 우리 기업 근로자들이 부당하게 미국내 구금시설에서 감내해야 했던 불편한 처우에 대해 언급하며, 해당 근로자들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들이 이번 사태로 인해 깊은 충격을 받았던 것에 유감을 표했다.
박 차관은 미측이 우리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재발방지 및 제도개선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요청했다.
또 이번 구금 사태 해결 과정에서 한미 양 정상간 형성된 유대관계와 양국의 호혜적 협력의 정신이 작용했음을 평가한다면서 귀국자의 미국 재입국시 불이익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맞춤형 비자 카테고리 신설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 논의를 위한 외교- 국무부간 워킹그룹 창설과 비자 관련 상담창구 개설 등 후속조치 이행에 박차를 가하자고 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이날 차관 회담에 앞서 랜도 부장관을 접견한 자리에서 이번 구금 사태가 양국에 윈윈이 될 수 있도록 부장관이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또 지난달 정상회담에서 나온 정상간 합의사항이 신속하고 충실하게 구체적 조치로 이행될 수 있도록 부장관이 직접 챙겨봐 달라고 독려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방한중인 램 부장관은 이날 서울 청사에서 박윤주 외교1차관과 가진 회담에서 유감 표명을 했다. 이번 사태 발발후 미 고위당국자가 유감 표명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이 문제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만큼 귀국자들이 미국에 재입국시 어떠한 불이익도 없을 것이며, 향후 어떠한 유사 사태도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활동이 미 경제·제조업 부흥에 대한 기여가 크다는 점을 절감하고 있는 만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한국 근로자들의 기여에 합당한 비자가 발급될 수 있도록 후속조치 관련 실무협의를 속도감 있게 진행하자고 했다.
이에 대해 박 차관은 우리 기업 근로자들이 부당하게 미국내 구금시설에서 감내해야 했던 불편한 처우에 대해 언급하며, 해당 근로자들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들이 이번 사태로 인해 깊은 충격을 받았던 것에 유감을 표했다.
박 차관은 미측이 우리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재발방지 및 제도개선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요청했다.
또 이번 구금 사태 해결 과정에서 한미 양 정상간 형성된 유대관계와 양국의 호혜적 협력의 정신이 작용했음을 평가한다면서 귀국자의 미국 재입국시 불이익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맞춤형 비자 카테고리 신설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 논의를 위한 외교- 국무부간 워킹그룹 창설과 비자 관련 상담창구 개설 등 후속조치 이행에 박차를 가하자고 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이날 차관 회담에 앞서 랜도 부장관을 접견한 자리에서 이번 구금 사태가 양국에 윈윈이 될 수 있도록 부장관이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또 지난달 정상회담에서 나온 정상간 합의사항이 신속하고 충실하게 구체적 조치로 이행될 수 있도록 부장관이 직접 챙겨봐 달라고 독려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