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피치, 프랑스 국가신용등급 강등. 유럽 재정위기 재연?

마크롱, 유럽 지도자중 가장 인기없어. 프랑스 위기 심화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12일(현지시간) 프랑스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로 한 단계 낮췄다. 이는 역대 최저다. 다만 향후 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매겨, 당분간 추가 하향은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피치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강등한 뒤, "정부가 신임 투표에서 패배한 것은 국내 정치의 분열과 양극화가 심화했다는 방증"이라며 "이러한 불안정성은 상당한 재정건전성을 달성하는 정치 시스템의 역량을 약화한다"고 강등 이유를 설명했다.

피치는 "향후 몇 년간 국가부채 안정화를 위한 명확한 시야가 없는 상태"라며 "국가부채가 2024년 GDP의 113.2%에서 2027년에는 121%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지금 프랑스는 정부의 긴축 정책에 항의하는 시민과 노조 등의 시위와 파업으로 전국이 거의 마비상태다.

프랑수아 바이루 총리가 지난 7월 정부지출 동결과 공휴일 축소를 포함한 긴축 재정안을 발표하자 전국적 시위가 촉발됐고, 결국 바이루 총리는 취임 9개월만에 의회 불신임으로 물러나야 했다. 이에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측근인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국방부 장관을 후임 총리로 임명하자 분노한 시민들은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마크롱 2기 행정부가 2년이 채 되지 않아 총리를 4번이나 교체할 정도로 긴축 정책을 둘러싸고 정국 혼란이 이어지면서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피치의 이번 등급 강등이 예상됐던 만큼 이에 따른 파장은 시장에 선반영됐다고 분석했으나, 프랑스 신용등급이 앞서 국가 부도 수준의 극심한 재정위기를 겪었던 이탈리아와 같은 수준으로 추락하면서 유럽 재정위기가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8년째 집권중안 마크롱 대통령 리더십도 크게 무너져, 그는 유럽에서 가장 인기없는 지도자로 전락했다.

여론조사업체 <유고브>의 최신 여론조사에 따르면 호감도에서 비호감도를 뺀 순호감도는 마크롱 대통령이 -55%포인트를 기록, 유럽 지도자 중 최악으로 나왔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1 0
    ㅋㅋㅋ

    1년 이자만 1200조인 미국은 갠찬냐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