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잔치는 끝났다. 국민 목소리 되게 단호"
김영진 "화장 잘 한다고 극복 안돼", 이언주 "세율인상 매달려선 안돼"
원조친명 '7인회' 멤버로 이재명 대통령 신임이 두터운 김영진 의원은 20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이 대통령 지지율 급락과 관련, "집권후 벌써 한 80일"이라며 "조국 사면, 그다음에 여러 가지 배당소득세 관련한 논란, 여타 문제는 복합적으로 작용한 민심의 반영이라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 사실은 초창기의 잔치는 끝난 것"이라며 "잔치는 끝났고, 그 속에서 오는 여러 가지 경제적인 어려움과 위기 이런 문제들을 어떻게 잘 헤쳐나가야 되느냐라고 하는 이재명 정부와 우리 더불어민주당의 책임에 대해서 저는 국민과 민심의 목소리가 되게 지금 단호하다, 그런 것을 느끼면서 대처해야 된다 그렇게 보고 있다"고 위기감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국정지지율과 정당지지율은 사실은 항공모함이다. 한번 턴하기가 어렵다. 작은 나룻배가 아니라서. 사실 큰 흐름에서 국민의 여론이 반영이 됐기 때문"이라며 단기간에 반전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결론적으로 "저희 민주당도 가장 본질적인 문제는 사실은 경제성장률 0.8% 경제위기. 이 위기에 민생의 어려움을 해결해나가고, 회복과 성장이라고 하는 정권교체의 본래 목표를 저희들이 잘 인지하고 이제는 준비해나가는 그런 의지와 방향이 필요하다라고 본다"며 "지금 그런 민생과 경제문제를 해결하지 아니하고 제가 보기에는 화장술을 잘한다고 해서 현재의 위기가 극복되지 않는다, 그렇게 보고 있다"고 끊어말했다.

이언주 최고위원도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지금은 국제적으로 관세압박, 공급망 불확실성, 원자재가격과 에너지가격 인상, 중장기적으로 인구감소와 저출생 심화 등으로 미래가 불확실하고 경제하려는 의지가 국민 개개인이든 기업이든 기업 종사자든 극도로 위축되어 있는 시기"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세율이 인상된다고 해서 세수가 늘어날 거라고 믿고 무턱대고 세율 인상에 매달리기보다 어떻게 하면 자본시장이든 민간의 소비든 기업의 투자든 활성화할 것인지부터 고민해야 한다"며 정부의 증세 드라이브에 제동을 걸었다.
이어 "자본시장의 개미투자자나 중소 대주주도, 불확실성으로 투자를 꺼리는 중소기업이나 대기업도...압박의 대상이기보다는 경제하려는 의지를 북돋을 대상으로 봐야 한다"며 "왜냐하면 글로벌경쟁시장에서 정부도 정치도 자본유치경쟁 속에 있기 때문"이라며 재계의 강력 반발에도 노란봉투법 등을 강행하려는 데 대해서도 우회적으로 쓴소리를 했다.
이 최고위원은 앞서 12일에도 코스피지수 3,200선 붕괴하자 "시장은 정직하다. 시장에 혼선을 주면 주가는 하락하게 된다"고 직격했다. 이어 "주말 당정협의회에서 당은 50억 양도세 부과 기준 유지를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 KOSPI 5,000 시그널을 일관되게 줄 필요가 있다"며 "하루빨리 정부가 결론을 내려주기 바란다"며 대통령실에 신속한 결단을 압박했다.
하지만 그후에도 주식양도세 논란은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함흥차사' 신세이고, 이날 코스피지수는 3,100선마저 무너졌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