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국민과 어떻게 더 많은 소통할 지 연구하겠다"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은 임기 내 계획"
박근혜 대통령은 25일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관련, "이것의 성공 여부는 하나에서 열까지 국민과 같이 가야 되고 국민 공감대를 확산시켜야 되고 국민의 이해를 구해야 된다는 것이 정말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어떻게 국민들과 더 많은 소통을 할 건가 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좀 여러 가지 연구를 해 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담화문 발표후 주재한 제4차 국민경제자문회의 및 경제관계장관회의 연석회의 마무리 발언에서 "무엇보다 국민과 같이 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박 대통령은 "혁신의 지향점은 오로지 국민행복에 둘 것이고 혁신의 모든 과정을 국민과 함께할 것이고 혁신의 모든 과실은 온전히 국민의 몫이 될 것"이라며 "특히 공공부문부터 혁신에 솔선수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은 임기 내의 실천계획"이라며 "임기 내에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정해서 실천하고 성과를 도출해서 국민들의 평가를 받으려고 한다. 임기 끝난 이후에 달성할 수 있는 장밋빛 그림을 제시하고, 정부가 바뀌면 또 흐지부지 넘어가던 그런 과거의 계획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우리가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일할 수 있는 시간이 날이면 날마다 있는 게 아닌데 그때 왜 내가 그것을 해내지 못했는가, 우리 모두가 그 역할을 하나하나 해서 왜 그때 이루어내지 못해서 대한민국이 이렇게 되게 했느냐 하는 천추의 한을 남겨서는 안 되고, 우리는 남겨서는 안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거듭 임기내 목표 달성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대통령 직속으로 두기로 한 통일준비위원회에 대해선 "동독에 갔을 적에 '통독이 됐을 때 가장 아쉬웠던 것, 하고 싶은 이야기가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하고 그 당시 그쪽에 총리를 지냈던 분한테 물었더니 'Inform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이렇게 세 번을 이야기를 하는데, 우리는 동독을 많이 알았다고 생각을 했는데 너무너무 동독 주민들에 대해서, 동독에 대해서 몰랐었다, 그게 한이었다는 것"이라며 "그런데 지금 남북 간에 뭘 해 보려고 노력은 하지만 과연 우리가 동서독이 교류했던 만큼 하고 있느냐, 그 정도도 못한다고 할 때 우리는 더 잘 알아야 되고 준비를 해야 된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담화문 발표후 주재한 제4차 국민경제자문회의 및 경제관계장관회의 연석회의 마무리 발언에서 "무엇보다 국민과 같이 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박 대통령은 "혁신의 지향점은 오로지 국민행복에 둘 것이고 혁신의 모든 과정을 국민과 함께할 것이고 혁신의 모든 과실은 온전히 국민의 몫이 될 것"이라며 "특히 공공부문부터 혁신에 솔선수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은 임기 내의 실천계획"이라며 "임기 내에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정해서 실천하고 성과를 도출해서 국민들의 평가를 받으려고 한다. 임기 끝난 이후에 달성할 수 있는 장밋빛 그림을 제시하고, 정부가 바뀌면 또 흐지부지 넘어가던 그런 과거의 계획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우리가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일할 수 있는 시간이 날이면 날마다 있는 게 아닌데 그때 왜 내가 그것을 해내지 못했는가, 우리 모두가 그 역할을 하나하나 해서 왜 그때 이루어내지 못해서 대한민국이 이렇게 되게 했느냐 하는 천추의 한을 남겨서는 안 되고, 우리는 남겨서는 안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거듭 임기내 목표 달성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대통령 직속으로 두기로 한 통일준비위원회에 대해선 "동독에 갔을 적에 '통독이 됐을 때 가장 아쉬웠던 것, 하고 싶은 이야기가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하고 그 당시 그쪽에 총리를 지냈던 분한테 물었더니 'Inform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이렇게 세 번을 이야기를 하는데, 우리는 동독을 많이 알았다고 생각을 했는데 너무너무 동독 주민들에 대해서, 동독에 대해서 몰랐었다, 그게 한이었다는 것"이라며 "그런데 지금 남북 간에 뭘 해 보려고 노력은 하지만 과연 우리가 동서독이 교류했던 만큼 하고 있느냐, 그 정도도 못한다고 할 때 우리는 더 잘 알아야 되고 준비를 해야 된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